-
국보 제 83호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국 보 2018. 11. 3. 08:30
국보 제 83호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金銅 彌勒菩薩 半跏 思惟像)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 제78호)과 함께 국내에서는 가장 큰 금동반가사유상으로 높이가 93.5㎝이다. 1920년대에 경주에서 발견되었다고 전하나 근거가 없으며, 머리에 3면이 둥근 산 모양의 관(冠)을 쓰고 있어서 ‘삼산반가사유상(三山半跏思惟像)’으로도 불린다.
얼굴은 거의 원형에 가까울 정도로 풍만하고 눈두덩과 입가에서 미소를 풍기고 있다. 상체에는 옷을 걸치지 않았고, 목에 2줄의 목걸이가 있을 뿐 아무런 장식이 없다. 왼발은 내려서 작은 연꽃무늬 대좌(臺座)를 밟고 있고, 오른발은 왼쪽 무릎 위에 얹어 놓았다. 왼손으로는 오른 발목을 잡고 오른손은 팔꿈치를 무릎에 얹었으며, 손가락으로 턱을 살며시 괴고 있다. 하반신을 덮은 치맛자락은 매우 얇게 표현하여 신체 굴곡이 잘 드러나며, 연꽃무늬 대좌를 덮은 옷자락은 깊고 자연스럽게 조각되었다. 왼쪽으로 옥을 꿴 치마의 띠가 내려가고 있으며, 머리 뒷부분에는 긴 촉이 달려 있어 광배(光背)를 꽂았음을 알 수 있다.
단순하면서도 균형잡힌 신체 표현과 자연스러우면서도 입체적으로 처리된 옷주름, 분명하게 조각된 눈·코·입의 표현은 정교하게 다듬어진 조각품으로서의 완벽한 주조 기술을 보여준다. 잔잔한 미소에서 느껴지는 반가상의 자비로움은 우수한 종교 조각으로서의 숭고미를 더해준다. 국보 제78호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보다 연대가 내려와 삼국시대 후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 문화재청)(180207)
'국 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 307호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0) 2018.11.17 국보 제 84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0) 2018.11.10 국보 제 158호 무령왕비 금목걸이 (7마디) (0) 2018.10.27 국보 제 319-3호 동의보감 (0) 2018.10.20 국보 제 303호 승정원일기 (0) 2018.10.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