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국보 제 42호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국 보 2021. 8. 7. 08:30

    국보 제 42호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順天 松廣寺 木彫三尊佛龕)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송광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불상을 모시기 위해 나무나 돌, 쇠 등을 깎아 일반적인 건축물보다 작은 규모로 만든 것을 불감(佛龕)이라 한다. 불감은 그 안에 모신 불상의 양식뿐만 아니라, 당시의 건축 양식을 함께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목조삼존불감은 보조국사 지눌이 중국에서 돌아오는 길에 가져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불감은 모두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운데의 방을 중심으로 양쪽에 작은 방이 문짝처럼 달려 있다. 문을 닫으면 윗부분이 둥근 팔각기둥 모양이 되는데, 전체 높이는 13㎝이고, 문을 열었을 때 너비 17㎝가 되는 작은 크기이다.

    가운데 큰 방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진 대좌(臺座) 위에 앉아 있는 본존불이 조각되어 있고, 양쪽의 작은 방에는 각각 보살상이 모셔져 있다. 본존불은 양 어깨를 감싼 옷을 입고 있으며, 옷주름은 2줄로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어깨 높이로 들었고, 무릎 위에 올리고 있는 왼손에는 물건을 들고 있다. 오른쪽 방에는 실천을 통해 자비를 나타낸다는 보현보살을 배치하였는데, 코끼리가 새겨진 대좌 위에 앉아 있다. 보살의 왼쪽에는 동자상이, 오른쪽에는 사자상이 서 있다. 왼쪽 방에는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이 연꽃가지를 들고 서 있다. 문수보살은 사자가 새겨져 있는 대좌 위에 서 있으며, 보살의 좌우에는 동자상이 1구씩 서 있다.

    이 목조삼존불감은 매우 작으면서도 세부묘사가 정확하고 정교하여 우수한 조각 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세부의 장식과 얼굴 표현 등에서는 인도의 영향을 받은 듯 이국적인 면이 보이며, 불감의 양식이나 구조에서는 중국 당나라의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국내에 남아 있는 불감류 가운데 매우 희귀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문화재청)

     

     

    (사진출처 : 문화재청)

     

     

    크 기 : 높이 13.9Cm 

    시 대 : 신라말 고려초

     

    목조로 된 전개식 3면 불함으로 각부의 精細(정세 - 정밀하고 세세함)한 기교와 양식 그리고 불보살등의 상호감각등으로 보면 中印度風(중인도풍)의 농후한 영향을 풍겨주는 이국적(異國的)인 作品(작품)으로 우리나라에 遺存(유존)하는 불함류에서는 매우 稀貴(희귀)한 례이다.

    댓글

© 2016.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