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왕릉 공간구성
① 곡장(曲墻) - 봉분의 동, 서, 북쪽에 둘러 놓은 담장
② 봉분(封墳) - 왕릉의 주인이 잠들어 있는 곳
③ 병풍석(屛風石) - 봉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봉분 아래에 둘러놓은 돌
④ 난간석(欄干石) - 봉분을 둘러싼 울타리 돌
⑤ 석양(石羊) - 왕릉을 지키는 양 모양의 석물
⑥ 석호(石虎) - 왕릉을 지키는 호랑이 모양의 석물
⑦ 망주석(望柱石) - 봉분 좌우에 세우는 돌기둥
⑧ 혼유석(魂遊石) - 석상(石牀)이라고도 함. 왕의 혼이 노니는 곳
⑨ 장명등(長明燈) - 어두운 사후 세계를 밝힌다는 의미를 지닌 석등
⑩ 문석인(文石人) - 왕을 보좌하는 문인을 상징하는 석물
⑪ 무석인(武石人) - 왕을 호위하는 무인을 상징하는 석물
⑫ 석마(石馬) - 문석인과 무석인의 뒤나 옆에 배치하는 말 모양의 석물
⑬ 예감(瘞坎) - 산릉제례 때 사용한 축문을 태우는 곳
⑭ 산신석(山神石) - 왕릉이 위치한 산의 신령에게 제사 지내는 곳
⑮ 정자각(丁字閣) - 산릉제례 때 제사를 지내는 건물
⑯ 비각(碑閣) - 왕의 행적을 적은 신도비나 표석을 보호하는 건물
⑰ 수복방(守僕房) - 왕릉 관리자가 임시로 머무는 건물
⑱ 수라간(水刺間) - 산릉제례 때 필요한 음식을 준비하는 건물
⑲ 향로(香路),어로(御路) - 향로는 제향 때 향과 축문을 들고 가는 길
어로는 제사를 드리는왕이 다니는 길
⑳ 판위(版位) - 왕이 능역에 들어서면서 경건한 마음으로 기다리는 공간
㉑ 홍살문(紅箭門) - 신성한 지역임을 표시하는 붉은 기둥의 문
㉒ 금천교(禁川橋) - 능역과 속세를 구분하는 돌다리
㉓ 재실(齋室) - 왕릉 관리자가 상주하며 산릉제례에 필요한 제수를 준비하는 곳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