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한국의 서원
-
옥산서원세계유산/한국의 서원 2021. 12. 1. 08:30
옥산서원 (玉山書院) 주 소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7 조선 중종 때의 문신인 회재 이언적(晦齋 李彦迪, 1491~1553)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자 1572년 경주부윤 이제민(李齊閔)과 지방유림의 뜻에 따라 서원을 창건하였으며 선조 7년(1574년) 옥산서원(玉山書院)으로 사액(賜額)되었다. 고종 5년(1868년) 흥선 대원군이 서원철폐령을 내렸을 때에도 헐리지 않고 살아남은 47개의 서원과 사당 중 하나이다. 1967년 3월 사적 제154호로 지정되었다. 남계서원, 도동서원, 도산서원, 돈암서원, 무성서원, 병산서원, 소수서원, 필암서원, 옥산서원 9개 서원이 "한국의 서원(書院)"으로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세심대(洗心臺) 역락문(亦樂門) 무변루(無邊樓) 암수재(..
-
병산서원세계유산/한국의 서원 2020. 8. 22. 08:30
병산서원 (屛山書院) 주 소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30 고려 때 안동부 풍산현에 있던 풍악서당(豊岳書堂)을 모태로 선조 5년(1572년)에 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 1542~1607)이 지금의 장소로 옮겼다. 광해군 5년(1613년) 그의 제자인 정경세(鄭經世)가 중심이 되어 류성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존덕사(尊德祠)를 창건하며 사원이 되었으며 철종 14년(1863년)에 병산서원(屛山書院)으로 사액(賜額)되었다. 1978년 3월 사적 제260호로 지정되었다. 남계서원, 도동서원, 도산서원, 돈암서원, 무성서원, 소수서원, 옥산서원, 필암서원, 병산서원 9개 서원이 "한국의 서원(書院)"으로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복례문(復禮門) 만대루(晩對樓) 광영지(光..
-
도산서원세계유산/한국의 서원 2020. 8. 15. 08:30
도산서원 (陶山書院) 주 소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680 대표적인 유학자인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은 명종 16년(1561년) 도산서당을 세웠고 사후 4년만인 선조 7년(1574년) 문인(門人)과 유림(儒林)이 서원을 세웠으며 선조 8년(1575년)에 도산서원(陶山書院)으로 사액(賜額)되었다. 1969년 5월 사적 제170호로 지정되었다. 남계서원, 도동서원, 돈암서원, 무성서원, 병산서원, 소수서원, 옥산서원, 필암서원, 도산서원 9개 서원이 "한국의 서원(書院)"으로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열정(洌井) 역락서재(亦樂書齋) - 제자들의 기숙사 현판의 글씨는 퇴계 선생의 친필이다. 농운정사(隴雲精舍) - 제자들이 공부하던 기숙사 하고직사(下庫直舍) ..
-
남계서원세계유산/한국의 서원 2020. 7. 15. 08:30
남계서원 (灆溪書院) 주 소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 586-1홈 피 : http://namgye.co.kr/ 조선 명종7년(1552년) 개암 강익(介庵 姜翼)이 일두 정여창(一蠹 鄭汝昌, 1450∼1504)을 기리기 위하여 창건하고 명종 21년(1566년) 소수서원에 이어 전국에서 두번째로 사액서원이 되었다.선조 30년(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으로 소실된 뒤 나촌(羅村)으로 터를 옮겼다가, 광해군 4년(1612년) 현재 위치에 다시 중건되었다. 사적 제 499호이다. 도동서원, 도산서원, 돈암서원, 무성서원, 병산서원, 소수서원, 옥산서원, 필암서원, 남계서원 9개 서원이 "한국의 서원(書院)"으로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풍영루(風詠樓) 묘정비(廟庭碑)..
-
도동서원세계유산/한국의 서원 2020. 6. 7. 08:30
도동서원 (道東書院) 주 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35 조선 유학자인 한훤당 김굉필(寒暄堂 金宏弼)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자 세운 서원으로 선조 1년(1568년) 비슬산 기슭에 쌍계서원(雙溪書院)이란 이름으로 세워졌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선조 4년(1604년) 보로동서원(甫勞洞書院)이란 아름으로 지금의 자리로 옮겨 다시 세웠으며 광해군 2년(1610년)에 도동서원(道東書院)으로 사액(賜額)되었다. 2007년 10월 사적 제488호로 지정되었다. 남계서원, 도산서원, 돈암서원, 무성서원, 병산서원, 소수서원, 옥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9개 서원이 "한국의 서원(書院)"으로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수월루(水月樓) 환주문(喚主門) 거의재(居義齋) 중정당(中正..
-
필암서원세계유산/한국의 서원 2020. 5. 3. 08:30
필암서원 (筆巖書院) 주 소 :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 377 선조 23년(1590년) 하서 김인후(河西 金麟厚 1510~1560)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워졌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1597년)으로 인한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인조 2년(1624년) 다시 세워 현종 13년(1672년) 팔암서원(筆巖書院)이라는 사액(賜額)을 받고 현종 13년(1672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고종 5년(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전라남도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던 사액서원(賜額書院)으로 1975년 4월 사적 제242호로 지정되었다. 남계서원, 도동서원, 도산서원, 돈암서원, 무성서원, 병산서원, 소수서원, 옥산서원, 필암서원 9개 서원이 "한국의 서원(書院)"으로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
무성서원세계유산/한국의 서원 2020. 5. 2. 08:30
무성서원 (武城書院) 주 소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500 무성서원은 신라말 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 선생이 태산태수(泰山太守)로 부임하여 8년동안 선정을 베풀고 많은 치적을 남기고 이임하여 떠나자 주민들이 생사당(生洞堂 : 생존해 있는 사람을 모시는 사당)을 세우고 태산사(泰山祠)라고 한데서 유래되었다. 이후 중종 39년(1544년) 태인현감으로 부임한 신잠(申潛)선생이 6년에 걸쳐 선정을 베풀다가 강원도 간성(杆城)군수로 전임되어 떠나자 주민들이 역시 생사당을 세워 배향하다가 고운 선생의 태산사와 합하였다. 그후 광해군 7년(1615년) 고을유림들이 서원을 세웠는데 숙종 22년(1696년) ‘무성서원(武城書院)’ 이라 사액(賜額)을 받았으며 불우헌 정극인(不憂軒 丁克仁), 늘암 송세림(纳..
-
돈암서원세계유산/한국의 서원 2020. 3. 15. 08:30
돈암서원 (遯巖書院) 주 소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임리 74 홈 피 : http://www.donamseowon.co.kr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 1548~1631)이 타계한지 3년 후인 인조 12년(1634년) 충청도 연산현(連山縣)의 임리(林里)에 창건되었다. 처음에는 김장생 문인들이 스승을 추모하여 사우를 건립한 뒤 위패를봉안하고 제사를 지내오다 사당 앞에 강당을 건립하면서 서원의 단초를이루었다. 현재의 연산면 임리(林里, 숲말)에 창건하면서 서원 서북쪽에 있던 돈암이란 큰 바위의 이름을 일컬어 서원의 이름을 돈암이라 하였다 한다. 고종 8년(1871년)의 전국적 서원 훼철령에서도 철폐되지 않고 보존되었지만 고종 18년(1881년)에 이르러 숲말의 지대가 낮아 홍수 때마다 서원 뜰 앞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