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
통도사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21. 12. 22. 08:30
영축산 통도사(靈鷲山 通度寺) ☞ 주 소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 홈 피 : http://www.tongdosa.or.kr/ 신라 선덕여왕 15년(646년) 자장(慈藏)이 당나라에서 불법을 배우고 돌아와 신라의 대국통(大國統)이 되어 왕명에 따라 창건하였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조선 인조 23년(1645)에 다시 지었다. 두륜산 대흥사, 태화산 마곡사, 속리산 법주사, 천등산 봉정사, 태백산 부석사, 조계산 선암사, 영축산 통도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山地僧院)"으로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211014)
-
선암사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21. 8. 18. 08:30
조계산 선암사(曹溪山 仙巖寺) ☞ 주 소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홈 피 : http://www.seonamsa.net/ 신라 헌강왕 1년(875년)에 도선(道詵)이 창건하여 고려 선종 5년(1088년) 의천(義天)이 중창하였으며 2009년 12월에 사적 제507호로 지정되었다. 두륜산 대흥사, 태화산 마곡사, 속리산 법주사, 천등산 봉정사, 태백산 부석사, 영축산 통도사, 조계산 선암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山地僧院)"으로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210701)
-
대흥사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20. 7. 16. 09:00
두륜산 대흥사(頭輪山 大興寺) ☞ 주 소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799 홈 피 : http://www.daeheungsa.co.kr/ 두륜산을 대둔산(大芚山)이라 부르기도 하여 원래 사찰명은 대둔사(大芚寺)였으나, 근대 초기에 대흥사로 명칭을 바꾸었다. 426년 신라의 승려 정관존자(淨觀尊者) 창건설, 544년 아도화상(阿度和尙)의 창건설이 있으나 현재로는 정확한 창건 시점을 밝히기가 매우 어려운 상태라 하겠으나 사찰 내에서는 대체로 아도화상의 창건설을 따르고 있으며 응진전(應眞殿) 앞에 세워져 있는 삼층석탑의 제작 연대가 통일신라 말기 경으로 추정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대흥사는 늦어도 통일신라 말기 이전에 창건된 고찰로 보아야 한다. 태화산 마곡사, 속리산 법주사, 천등산 봉정사, 태백산 부석..
-
봉정사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19. 3. 21. 08:30
천등산 봉정사(天燈山 鳳停寺) ☞ 주 소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 홈 피 : http://www.bongjeongsa.org/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孤雲寺)의 말사로 문무왕 12년(672년) 의상대사(義湘大師))의 제자인 능인대덕(能仁大德)이 창건 한 후 조선시대까지 여러차례 중수하였다. 두륜산 대흥사, 태화산 마곡사, 속리산 법주사, 태백산 부석사, 조계산 선암사, 영축산 통도사, 천등산 봉정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山地僧院)"으로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190221)
-
부석사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19. 2. 28. 08:30
태백산 부석사(太白山 浮石寺) ☞ 주 소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홈 피 : http://www.pusoksa.org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신라 문무왕(文武王) 16년(676년)에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왕명으로 창건한 화엄종(華嚴宗)의 수사찰(首寺刹)이다. 고려 현종 7년(1016년)에 원융국사(圓融國師)가 무량수전(無量壽殿)을 중창하였고 우왕 2년(1376년)에 원응국사(圓應國師)가 다시 중수하고, 이듬해 조사당(祖師堂)을 재건하였다. 1916년에는 무량수전과 조사당을 해체 수리하였다. 두륜산 대흥사, 태화산 마곡사, 속리산 법주사, 천등산 봉정사, 조계산 선암사, 영축산 통도사, 태백산 부석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山地僧院)"..
-
법주사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18. 9. 13. 09:00
속리산 법주사(俗離山 法住寺) ☞ 주 소 :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산 1-1 홈 피 : www.beopjusa.org/index.php 신라 진흥왕 14년(553년) 의신(義信)이 창건하였다. 의신이 불법을 구하러 간 천축(天竺: 인도)에서 귀국시 나귀에 불경을 싣고 와 이곳에 절을 짓고 부처님의 법이 머무는 곳, 법주사라 하였다는 설화가 있다. 두륜산 대흥사, 태화산 마곡사, 천등산 봉정사, 태백산 부석사, 조계산 선암사, 영축산 통도사, 속리산 법주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山地僧院)"으로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161108)
-
마곡사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18. 9. 13. 08:45
태화산 마곡사(泰華山 麻谷寺) ☞ 주 소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567 홈 피 : http://www.magoksa.or.kr/ 마곡사 사적입안(事蹟立案)에 따르면 백제 무왕(百濟 武王) 41년(640년)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하여 고려 명종(高麗 明宗) 때인 1172년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중수, 범일(梵日)이 재건하고, 도선국사(道詵國師)가 다시 중수하고, 각순(覺淳)이 보수하였다 전해오고 있다. 두륜산 대흥사, 속리산 법주사, 천등산 봉정사, 태백산 부석사, 조계산 선암사, 영축산 통도사, 태화산 마곡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山地僧院)"으로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16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