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보
-
국보 제 345호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국 보 2024. 7. 27. 08:30
국보 제 345호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順天 松廣寺 靈山會上圖 및 八相圖) 주 소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송광사 지정일 : 2024년 05월 27일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는 송광사 영산전에 봉안하기 위해 일괄로 제작한 불화로 영산회상도 1폭과 팔상도 8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산회상도 화기에 ‘영산회상(靈山會上)’과 같은 화제나 후불벽 봉안을 의미하는 ‘후불도(後佛圖)’ 대신 ‘팔상회(八相繪)’라는 용어를 사용해 해당 영산회상도가 팔상도의 주불화로 일괄 제작되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팔상도는 석가모니의 생애에서 역사적인 사건을 8개의 주제로 표현한 불화로, 팔상의 개념은 불교문화권에서 공유되었지만 이를 구성하는 각 주제와 도상, 표현 방식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다...
-
국보 제 315호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국 보 2024. 6. 1. 08:30
국보 제 315호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 주 소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지정일 : 2010년 01월 04일 이 석비는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희양산문(曦陽山門)의 개창자인 도헌국사(道憲國師) 곧 지증대사(智證大師)의 탑비로서, 비석의 크기나 귀부와 이수의 조각수법 등이 통일신라 말기를 대표하는 전형적인 양식과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비문에는 신라의 불교사를 3시기로 나누어 약술하고 도신(道信)-법랑(法朗)-신행(愼行)-준범(遵範)-혜은(慧隱)-도헌(道憲)으로 이어지는 도헌국사의 법계(法系)를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있어서 신라하대의 불교사 특히 선종사(禪宗史) 연구의 중요한 1차 사료가 된다. 이 비는 당대의 대학자이며 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이 비..
-
국보 제 342호 부안 내소사 동종국 보 2024. 3. 30. 08:30
국보 제 342호 부안 내소사 동종 (扶安 來蘇寺 銅鍾) 소재지 :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268, 내소사 지정일 : 2023년 12월 26일 사찰에서 사용하는 종은 소리를 통해 범음(梵音)을 전파하는 도구 중 하나로 법고, 운판, 목어와 더불어 법구사물(法具四物)로 불린다. 종은 대중을 모이게 하거나 시간을 알리기 위해 치기도 하지만, 신성한 불음(佛音)을 통해 현실에서 고통 받고 있는 중생들의 깨달음과 구제를 염원하는 종교적 기능도 가지고 있다. ‘부안 내소사 동종’은 몸체에 음각으로 새겨진 주종기(鑄鍾記)를 통해 도인(道人) 허백(虛白)과 종익(宗益)의 주관 아래 장인 한중서(韓冲敍)가 700근의 무게로 1222년(貞祐 10) 제작하였음을 명확히 알 수 있는 13세기 동종의 기준작이다. 한중..
-
국보 제 341호 이순신 장검국 보 2024. 3. 23. 08:30
국보 제 341호 이순신 장검 (李舜臣 長劍) 소재지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298-1, 현충사 지정일 : 2023년 08월 24일 ‘이순신 장검’은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이순신 유물 일괄’에 포함된 도검으로 길이가 약 2m에 달하며 크기와 형태가 거의 같은 한 쌍이 각각 칼집을 갖추고 있다. 칼자루는 나무에 어피를 감싸고 붉은 칠을 하였으며, 일부분만 직사각형의 금속판을 댄 후 가죽끈을 X자로 교차해 감고 끈 위에 검은 칠을 하여 칼자루를 잡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였다. 외날의 칼날은 칼등 방향으로 조금 휘어 있으며, 칼날의 단면은 칼날의 위쪽과 아래쪽의 각도를 보았을 때 가장 보편적인 육각도(六角刀) 단면을 보이고 있다. 칼날 위쪽 부분에는 이순신이 직접 지은 시구 ‘삼척서천산하..
-
국보 제 335호 이십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국 보 2024. 3. 16. 08:30
국보 제 335호 이십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 (二十功臣會盟軸-保社功臣錄勳後)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490-8,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정일 : 2021년 02월 17일 ‘이십공신회맹축 –보사공신녹훈후’는 1680년(숙종 6) 8월 30일에 개국공신(開國功臣) 이래 보사공신(保社功臣) 까지의 공신과 그 자손들을 모아 회맹제(會盟祭)를 거행한 후 작성한 회맹축이다. 이 회맹축이 작성된 시기는 1694년이다. ‘보사공신’이란 1680년(숙종 6)년 4월에 서인이 다시 집권하게 된 ‘경신환국(庚申換局)’ 때에 공을 세운 이들에게 내린 훈호(勳號)였으나, 1689년에 삭훈되었고 이후 1694년(숙종 20)년 갑술환국(甲戌換局) 이후 삭훈된 공신들을 복훈(復勳)한 공신들을 말한다. 국보 회맹축은 이러..
-
국보 제 334호 기사계첩 및 함국 보 2024. 3. 9. 08:30
국보 제 334호 기사계첩 및 함 (耆社契帖및 函) 소재지 : 충청남도 아산시 지정일 : 2020년 12월 22일 ‘기사계첩’은 1719년(숙종 45) 59세가 된 숙종이 태조 이성계의 전례를 따라 기로소(耆老所)에 들어 간 것을 기념해 기로소에서 주관한 계첩(契帖)으로, 18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궁중기록화이다. 기로 소는 70세 이상, 정2품 이상 직책을 가진 노년의 문관(文官)들을 우대하던 기관이다. 행사는 1719년에 실시되었으나 계첩은 초상화를 그리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 1720년(숙종 46)에 완 성되었다. ‘기사계첩’은 기로신들에게 나눠줄 11첩과 기로소에 보관할 1첩을 포함해 총 12첩이 제작 되었다.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기사계첩’(국보)를 포함해 5건 정도가 알려져 있다. 국보 ‘..
-
국보 제 256호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국 보 2024. 2. 3. 08:30
국보 제 256호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一)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 496, 경기도박물관 지정일 : 1990년 09월 20일 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화엄경'은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는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불교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이 책은 고려 현종 때(재위 1011∼1031) 부처님의 힘으로 거란의 침입을 극복하고자 만든 초조대장경 가운데 하나로, 당나라의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화엄경』주본 80권 중 권 제1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전체 크기는 세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