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조선왕릉
-
조선왕릉세계유산/조선왕릉 2019. 9. 8. 08:30
조선왕릉 능명(陵名) 능주(陵主) 주소 건원릉(健元陵) 제1대 왕 태조(太祖)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 제릉(齊陵) 태조 원비(元妃) 신의왕후(神懿王后) 황해북도 개풍군 정릉(貞陵) 태조 계비(繼妃)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 서울특별시 성북구 후릉(厚陵) 제2대 정종(定宗)과 정안왕후(定安王后) 황해북도 개풍군 헌릉(獻陵) 제3대 태종(太宗)과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 서울특별시 서초구 영릉(英陵) 제4대 세종(世宗)과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 경기도 여주시 현릉(顯陵) 제5대 문종(文宗)과 현덕왕후(顯德王后)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 장릉(莊陵) 제6대 단종(端宗) 강원도 영월군 사릉(思陵) 제6대 단종비(妃) 정순왕후(定順王后) 경기도 남양주시 광릉(光陵) 제7대 세조(世祖)와 정희왕후(貞熹王后) 윤씨 ..
-
조선왕릉 공간구성세계유산/조선왕릉 2019. 9. 7. 08:30
조선왕릉 공간구성 ① 곡장(曲墻) - 봉분의 동, 서, 북쪽에 둘러 놓은 담장 ② 봉분(封墳) - 왕릉의 주인이 잠들어 있는 곳③ 병풍석(屛風石) - 봉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봉분 아래에 둘러놓은 돌 ④ 난간석(欄干石) - 봉분을 둘러싼 울타리 돌 ⑤ 석양(石羊) - 왕릉을 지키는 양 모양의 석물 ⑥ 석호(石虎) - 왕릉을 지키는 호랑이 모양의 석물 ⑦ 망주석(望柱石) - 봉분 좌우에 세우는 돌기둥 ⑧ 혼유석(魂遊石) - 석상(石牀)이라고도 함. 왕의 혼이 노니는 곳 ⑨ 장명등(長明燈) - 어두운 사후 세계를 밝힌다는 의미를 지닌 석등 ⑩ 문석인(文石人) - 왕을 보좌하는 문인을 상징하는 석물 ⑪ 무석인(武石人) - 왕을 호위하는 무인을 상징하는 석물 ⑫ 석마(石馬) - 문석인과 무석인의 뒤나 옆에 배치하..
-
장릉(章陵)세계유산/조선왕릉 2019. 9. 5. 08:30
장릉(章陵) 주 소 :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 산141-1 홈 피 : http://royaltombs.cha.go.kr 제16대 인조의 아버지 추존 원종(元宗 1580∼1619)과 부인 인헌왕후(仁獻王后) 구씨(1578∼1626)의 쌍릉(雙陵)이다. 광해군 11년(1619년)에 선조의 왕자 정원군(원종)이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에 양주 곡촌리(현 남양주시 금곡동)에 묘를 조성하였다. 1623년에 인조가 왕위에 오르자 정원대원군으로 추봉되고, 인조 4년(1626년)에 계운궁 연주부부인(인헌왕후)이 세상을 떠나자 김포 성산에 육경원(毓慶園)을 조성하였다. 이때 정원대원군의 원의 이름을 흥경원(興慶園)이라 하였다. 이듬해인 1627년에 흥경원을 육경원으로 천장하면서 원의 이름을 흥경원이라 하였다가, 인조 10년(..
-
장릉(長陵)세계유산/조선왕릉 2019. 8. 29. 08:30
장릉(長陵) 주 소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 산 25-1 홈 피 : http://royaltombs.cha.go.kr 제16대 인조(仁祖 1595~1649, 재위 1623∼1649)와 원비(元妃) 인열왕후(仁烈王后) 한씨(1594∼1635)의 합장릉(合葬陵)이다. 인조 13년(1635년)에 인조의 첫 번째 왕비 인열왕후 한씨가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인 1636년에 파주 운천리에 능을 조성하였다. 이때 인조는 자신의 능자리를 미리 공사하였다. 이후 인조 27년(1649년)에 인조가 세상을 떠나자 쌍릉의 형태로 능을 조성하였다. 그러나 장릉에 화재가 자주 일어나고 뱀과 전갈이 능 주위에 무리를 이루고 석물 틈에 집을 짓는 변이 계속되자 영조 7년(1731년)에 현재의 자리로 천장하였다. 1970년 5월..
-
파주삼릉(坡州 三陵)세계유산/조선왕릉 2019. 8. 22. 08:30
파주삼릉(坡州 三陵) 주 소 :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 산4-1번지 제8대 예종 원비(元妃) 장순왕후(章順王后) 한씨의 단릉(單陵)인 공릉(恭陵), 제9대 성종의 원비(元妃) 공혜왕후(恭惠王后) 한씨의 단릉(單陵)인 순릉(順陵), 제21대 영조의 맏아들 추존 진종(眞宗)과 부인 효순왕후(孝純王后) 조씨의 쌍릉(雙陵)인 영릉(永陵)이있다.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205호로 지정되었다. 역사문화관(歷史文化館) 재실(齋室) (190717) * 공릉(恭陵) ☞ * 순릉(順陵) ☞ * 영릉(永陵) ☞
-
영릉(永陵)세계유산/조선왕릉 2019. 8. 21. 08:30
영릉(永陵) 주 소 :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 산4-1번지 파주삼릉 내 홈 피 : http://royaltombs.cha.go.kr 제21대 영조의 맏아들 추존 진종(眞宗 1719~1728)과 부인 효순왕후(孝純王后) 조씨(1715∼1751)의 쌍릉(雙陵)이다. 영조 4년(1728년)에 진종이 왕세자의 신분으로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인 1729년에 파주 순릉 왼쪽언덕인 지금의 자리에 묘를 조성하였다. 이후 영조 27년(1751년)에 효순소황후가 왕세자빈(현빈)의 신분으로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인 1752년에 효장세자묘 왼쪽에 묘를 조성하였다. 그 후 1776년에 영조가 세상을 떠나고 정조가 왕위에 오르자 정조의 계승상 아버지가 되는 효장세자가 진종으로 추존되면서 능의 이름을 영릉이라 하였다. 1970..
-
순릉(順陵)세계유산/조선왕릉 2019. 8. 8. 08:30
순릉(順陵) 주 소 :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 산4-1번지 파주삼릉 내 홈 피 : http://royaltombs.cha.go.kr 제9대 성종의 원비(元妃) 공혜왕후(恭惠王后) 한씨(1456∼1474)의 단릉(單陵)이다. 성종 5년(1475년)에 공혜왕후 한씨가 세상을 떠나자, 장순왕후의 공릉이 있는 파주에 능을 조성하였다.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205호, 2009년 6월 2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정자각(丁字閣) 비각(碑閣) 수라간(水刺間) 수복방(守僕房) (190717) (사진 출처 : 문화재청)
-
공릉(恭陵)세계유산/조선왕릉 2019. 8. 1. 08:30
공릉(恭陵) 주 소 :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 산4-1번지 파주삼릉 내 홈 피 : http://royaltombs.cha.go.kr 제8대 예종 원비(元妃) 장순왕후(章順王后) 한씨(1445~1461)의 단릉(單陵)이다. 세조 7년(1461년)에 장순왕후 한씨가 왕세자빈의 신분으로 세상을 떠나 이듬해인 1462년에 파주 보시동(普施洞)인 현재의 자리에 묘를 조성하였다. 이후 성종 1년(1470년)에 장순왕후로 추존하고 능의 이름을 공릉이라 하였다.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205호, 2009년 6월 2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정자각(丁字閣) 비각(碑閣) 수라간(水刺間) 수복방(守僕房) (190717) (사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