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그외 말사
-
보현산 보현사조계종/그외 말사 2025. 3. 2. 08:30
보현산 보현사 (普賢山 普賢寺) 주 소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 1171 홈 피 : http://www.bohyunsa.or.kr/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로 신라 진덕여왕 4년(650년)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하였다. 신라시대에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이 천축국(天竺國)에서 돌로 된 배를 타고 오셔서 강릉의 동남쪽 남항진(南項津) 해변에 당도하여 문수사(文殊寺)를 세웠다고 한다. 문수사는 현재 강릉의 한송사(寒松寺)지로 알려진 곳이다. 절이 완공되자 보현보살은 말하였다. "한 절에 두 보살이 함께 있을 필요가 없으니, 나는 활을 쏘아 화살이 떨어지는 곳을 새 절터로 삼아 떠나겠다." 이에 보현보살이 신력으로 활시위를 당기자 화살은 멀리 날아가..
-
상왕산 개심사조계종/그외 말사 2025. 1. 12. 08:30
상왕산 개심사 (象王山 開心寺) 주 소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1 홈 피 : https://gaesimsa.modoo.at/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修德寺)의 말사로 의자왕 9년(649년) 혜감국사(慧鑑國師)가 창건하여 개원사(開元寺)라 하였다. 고려 충정왕 2년(1350년) 처능(處能) 스님이 중창하면서 개심사(開心寺)로 사명을 바꿨으며 그 후 불탄 것을 조선 성종 6년(1475년) 중창하였다. 일주문(一柱門) 안양루(安養樓)범종각(梵鐘閣)해탈문(解脫門)심검당(尋劍堂) 대웅보전(大雄寶殿) - 보물 제 143호 무량수전(無量壽殿)팔상전(八相殿) 진영각(眞影閣) 산신각(山神閣) 수령 약 150여년 배롱나무명부전(冥府殿) (241017)
-
금오산 향천사조계종/그외 말사 2025. 1. 5. 08:30
금오산 향천사 (金烏山 香泉寺) 주 소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 59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修德寺)의 말사로 백제 의자왕 16년(656년)에 의각대사(義覺大師)가 창건하였다. 일주문(一柱門) 향설루(香雪樓) 범종각(梵鐘閣)서선당(西禪堂)나한전(羅漢殿) 극락전(極樂殿) 산신각(山神閣) 금오당(金烏堂) 수령 약 390여년 느티나무수령 약 360여년 느티나무천불전(千佛殿) 수령 약 220여년 느티나무 약사여래불(藥師如來佛)동선당(東禪堂) (241015)
-
괘방산 등명낙가사조계종/그외 말사 2024. 12. 29. 08:30
괘방산 등명낙가사 (掛榜山 燈明洛伽寺) 주 소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7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로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수다사(水多寺)로 창건하여 신라 말 전쟁으로 불에 탄 것을 고려 초에 중창하고 등명사(燈明寺)로 고쳤다. 조선 중기에 폐허가 되었으나 1956년 경덕(景德)스님이 중창한 뒤 관세음보살이 늘 머무는 곳이라 해서 절 이름을 낙가사(洛伽寺)로 바꾸고, 옛 이름 등명을 앞에 붙여 등명낙가사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일주문(一柱門)부도전(浮屠殿) 세출문(洗出門) 불이문(不二門) 범종루(梵鐘樓) 극락보전(極樂寶殿) 대웅전(大雄殿) 진영각(眞影閣)삼성각(三聖閣) 관일루(觀日樓) 약사전(藥師殿) (241010)
-
두타산 삼화사조계종/그외 말사 2024. 12. 14. 08:30
두타산 삼화사 (頭陀山 三和寺) 주 소 :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 860-10 홈 피 : http://www.samhwasa.or.kr/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로 삼화사의 건립에 대하여 3가지 설이 공존하고 있다. 삼화사사적(三和私史蹟)에 근거한 신라 선덕여왕 12년(643년) 자장율사(慈藏律師)에 의한 창건설, 강원도지(江原道誌)에 근거한 통일신라 흥덕왕 4년(829년) 창건설, 그리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근거한 범일국사(凡日國師) 창건설이 있다. 일주문(一柱門) 천왕문(天王門) 범종각(梵鐘閣)공수실(供需室) 심검당(尋劍堂) 3층석탑(三層石塔) - 보물 제 1277호 육화료(六和寮) 극락전(極樂殿) 삼성각(三聖閣) 적광전(寂光殿) 약사..
-
태백산 보덕사조계종/그외 말사 2024. 12. 8. 08:30
태백산 보덕사 (太白山 報德寺) 주 소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1110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로 신라 신문왕 6년(686년) 의상(義湘)이 창건하고 지덕사(旨德寺)라 하였다. 세조 3년(1457년) 단종이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되어 이곳 영월로 유배되어 와 사찰명을 노릉사(魯陵寺)라 개칭하였으며 영조 2년(1726년) 장릉수호조포사(莊陵守護造泡寺)라는 은전이 베풀어지며 보덕사로 개명하여 장릉(莊陵)의 능사(陵寺)가 되었다.* 조포(造泡)는 두부를 만든다는 의미로, 조포사(造泡寺)는 능묘에서 치러지는 제사에 제물(祭物)을 공급하는 사찰을 의미했다. 조선전기까지만 해도 이들 사찰은 능침사(陵寢寺)나 진전사찰(眞殿寺刹), 원당사찰(願堂寺刹) 등으로 지칭되었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