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그외 말사
-
운길산 수종사조계종/그외 말사 2016. 10. 16. 08:30
운길산 수종사(雲吉山 水鍾寺) 주 소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1060 홈 피 : http://www.sujongsa.com/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로 1458년 세조가 신병치료차 금강산을 유람하고 돌아오는 중 이수두(二水頭=兩水里=두물머리)에서 하룻밤을 머물 때 운길산 어디선가 은은한 종소리가 들려와 다음 날 숲 속을 둘러보니, 18 나한상이 줄지어 앉아 있는 바위굴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는 소리가 종소리처럼 울려나와 세조는 감동하여 지금의 자리에 절을 복원하게 하고 절 이름을 수종사라 부르도록 하였다. 일주문(一柱門) 부도(浮屠) 불이문(不二門) 범종각(梵鐘閣) 대웅보전(大雄寶殿) 팔각오층석탑(八角五層石塔)은 1493년에 건립된 이래 1628년에 중수(重修)된 ..
-
만덕산 백련사조계종/그외 말사 2016. 7. 3. 08:30
만덕산 백련사(萬德山 白蓮寺) 주 소 :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 246 홈 피 : http://www.baekryunsa.net/ 신라 말기인 문성왕(839년)때 무염국사(無染國師)가 창건하여 만덕사(萬德寺)라 불렀으나 고려 희종(1211년)때 원묘국사(圓妙國師) 요세(了世)스님이 중창하여 백련결사(白蓮結社)로 이름을 크게 날려 백련사(白蓮寺)로 불리게 되었다. 육화당(六和堂) 만경루(萬景樓) 대웅보전(大雄寶殿) 삼성각(三聖閣) 명부전(冥府殿) 범종각(梵鐘閣) 천불전(千佛殿) 응진당(應眞堂)은 나한전(羅漢殿)이라고도 한다. 만덕산 백련사 사적비(萬德山 白蓮寺 事蹟碑) 원구형 부도(圓球形 浮屠) 천연기념물 151호 동백숲 (160406)
-
정족산 전등사조계종/그외 말사 2016. 6. 12. 08:30
정족산 전등사(鼎足山 傳燈寺) 주 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홈 피 : http://www.jeondeungsa.org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본사인 조계사(曹溪寺)의 말사로 고구려 소수림왕11년(381년) 진나라에서 건너온 아도(阿道)가 창건하여 진종사(眞宗寺)라 하였으며 고려 충렬왕 8년(1282년) 왕비인 정화궁주(貞和宮主)가 진종사에 경전과 옥등을 시주한 것을 계기로 ‘전등사’라 사찰 명칭을 바꾸었다. * 남문(南門)의 문루(門樓)를 ‘종해루(宗海樓)’라 부른다. * 삼랑성(三郞城)은 단군의 세 아들이 쌓았다는 전설이 있으며 정족산에 있어 일명 정족산성(鼎足山城)이라고도 하는 성 길이는 2,944m에 달하는 자연석으로 축조된 성으로 사적 제130호이다. * 부도전(浮屠殿..
-
보련산 보탑사조계종/그외 말사 2016. 5. 14. 08:30
보련산 보탑사(寶蓮山 寶塔寺) 주 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 483번지 비구니스님인 지광(志光), 묘순(妙洵), 능현(能現)스님의 발원으로 고려시대 큰 절터로 전해지는 연곡리(蓮谷里)에 1988년 절터를 마련하여 2003년 불사를 마쳤다. 천왕문(天王門) 법고각(法鼓閣)에는 법고(法鼓), 목어(木魚), 운판(雲板)이 있다. 범종각(梵鐘閣) 3층목탑은 높이 42.73m로 못을 사용하지 않은 전통방식으로 1996년 창건하였다. 1층 금당(金堂)은 부처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모신 심주(心柱)를 중심으로 약사여래불(藥師如來佛 - 東), 아미타여래불(阿彌陀如來佛 - 西),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 南),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 北)등 사방불(四方佛)을 모셨으며 2층 법보전(法寶殿)은 윤장대(輪藏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