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시
-
국보 제 348호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국 보 2025. 3. 26. 08:30
국보 제 348호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公州 麻谷寺 五層石塔) 소재지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사곡면 운암리 567, 마곡사 지정일 : 2025년 01월 09일 공주 마곡사(公州 麻谷寺)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중의 하나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이다. 자장율사(慈藏律師, 590~658) 혹은 보조국사 체징(體澄, 804~880)이 창건하였다고 기록으로 전하나,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은 없으며, 고려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公州 麻谷寺 五層石塔)」은 조성시기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고려후기 충청과 호남 지역에 성행한 백제계 석탑 양식을 취한 전형적인 고려시대 석탑으로 2층 탑신에 조각된 사방불의 세부 표현기법 등에서 고려후기(14세기경..
-
-
계룡산 동학사조계종/그외 말사 2024. 12. 1. 08:30
계룡산 동학사 (鷄龍山 東鶴寺) 주 소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789 홈 피 : http://www.donghaksa.kr/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로 신라 성덕왕 23년(724년) 상원조사(上願祖師)가 암자를 지은 것을 후에 회의(懷義)화상이 도량을 짓고 이름을 청량사(淸凉寺)라 하였다. 고려 태조 19년(936년) 신라가 망하자 대승관(大丞官) 유차달(柳車達)이 이 절에 와서 신라의 시조(始祖)와 충신 박제상(朴堤上)의 초혼제(招魂祭)를 지내기 위해 동계사(東鷄祠)를 짓고 확장한 뒤 동학사로 바꿨다. 일주문(一柱門)동학사불교문화원부도전(浮屠殿)범종루(梵鐘樓) 육화료(六和寮) 대웅전(大雄殿)목조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및 腹藏遺物) - ..
-
-
국립 공주박물관여 행 2021. 10. 10. 08:30
국립 공주박물관 주 소 :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360 홈 피 : https://gongju.museum.go.kr/gongju/ 웅진 백제 문화를 중심으로 충청남도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 전시하기 위해 1946년 4월 1일 개관하였다. 국보 제 154호 무령왕 금제관식 (武寧王 金製冠飾) ☞ 국보 제 155호 무령왕비 금제관식 (武寧王妃 金製冠飾) ☞ 국보 제 156호 무령왕 금귀걸이 (武寧王 金製耳飾) ☞ 국보 제 159호 무령왕 금제 뒤꽂이 (武寧王 金製釵) ☞ 국보 제 157호 무령왕비 금귀걸이 (武寧王妃 金製耳飾) ☞ 국보 제 158호 무령왕비 금목걸이 (武寧王妃 金製頸飾) - 9마디 ☞ 국보 제 158호 무령왕비 금목걸이 (武寧王妃 金製頸飾) - 7마디 ☞ 국보 제 160호 무령왕비 은팔찌 ..
-
-
공산성세계유산/백제역사 유적지구 2019. 1. 23. 08:30
공산성 (公山城) 주 소 :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53-51 공산성은 백제의 수도가 공주였을 때 공주를 지키던 백제의 산성이다.금강변 야산의 계곡을 둘러싼 동서 약800m, 남북 400m 정도의 장방형의 산성으로, 원래는 흙으로 쌓은 토성이었으나 조선시대에 석성으로 고쳤다. 쌓은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며, 백제 때에는 웅진성으로, 고려시대에는 공주산성·공산성으로, 조선 인조 이후에는 쌍수산성으로 불렀다. 4방에 문터가 확인되는데, 남문인 진남루와 북문인 공북루가 남아있고 동문과 서문은 터만 남아있었는데, 1993년에 동문터에는 영동루 서문터에는 금서루를 복원하였다. 암문·치성·고대·장대·수구문 등의 방어시설이 남아 있으며, 성 안에는 쌍수정·영은사·연지·임류각지, 그리고 만하루지 등이 있다. 또한 연..
-
계룡산 신원사조계종/그외 말사 2018. 9. 23. 08:30
계룡산 신원사(鷄龍山 新元寺) 주 소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2 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 마곡사(麻谷寺)의 말사로 백제 의자왕 11년(651년) 열반종(涅槃宗)의 개산조(開山祖) 보덕화상(普德和尙)이 창건, 신라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법당만 남아 있던 절을 중창, 고려 충렬왕(1298년) 때 무기(無奇)에 의해 중건이 되었다. 태조 2년(1393년) 무학대사(無學大師)가 중창하면서 영원전(靈源殿)을 지었고, 고종 3년(1866년)에 관찰사 심상훈(沈相薰)이 중수하면서 신원사(神院寺)였던 이름을 어수선한 나라가 새롭게 발전하는 신기원이 되기를 염원하여 신원사(新元寺)라 하였으며, 1876년에 보연(普延)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사천왕문(四天王門) 부도전(浮屠殿)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