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박물관
-
국립 고궁박물관여 행 2023. 2. 8. 08:30
국립 고궁박물관주 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57 홈 피 : https://www.gogung.go.kr/ 1908년 창경궁 내의 황실박물관으로 개관하여 일제강점기인 1938년 이왕가박물관으로 명칭이 격하되었으며 1946년 덕수궁 미술관으로 개칭하였다. 1961년 덕수궁 사무소를 설치하였고 1969년 덕수궁 미술관이 국립박물관으로 통합, 개편되었다. 1992년 덕수궁 사무소가 문화재청 직속의 궁중유물 전시관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2005년 광복 60주년을 맞이하여 덕수궁 궁중유물 전시관을 대대적으로 확대, 개편하였다. 경복궁 내 옛 국립 중앙박물관 자리에 국립 고궁박물관을 새롭게 개관하여 기존 소장품을 비롯해 4대 궁에 분산되어 있던 소장품 약 4만여 점을 보관, 전시하였다. 200..
-
국립 박물관여 행 2022. 7. 1. 11:00
국립 박물관 이 름 주 소 국립 경주박물관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 공주박물관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360 국립 광주박물관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 430 국립 김해박물관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 232번지 국립 나주박물관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신촌리 152-25 국립 대구박물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70 국립 부여박물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산16-1 국립 익산박물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104-1 국립 전주박물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2가 900 국립 제주박물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건입동 261 국립 진주박물관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169-17, 진주성 국립 청주박물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87 국립 춘천박물관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95-3 국립 중앙..
-
국립 익산박물관여 행 2022. 6. 12. 08:30
국립 익산박물관 주 소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104-1 홈 피 : https://iksan.museum.go.kr/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문화유산을 효율적으로 보존, 전시하고 교육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1997년 전라북도가 주체가 되어 미륵사지 유물전시관을 개관 운영하다가 2019년 명칭을 국립 익산박물관으로 변경하였다. 국보 제 123호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舍利莊嚴具) ☞ 국보 제 340호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 ☞ 어린이박물관 (220406)
-
국립 경주박물관여 행 2022. 2. 17. 08:30
국립 경주박물관 주 소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76 홈 피 : https://gyeongju.museum.go.kr/ 광복 후 국립박물관이 결성됨에 따라 조선총독부박물관 경주분관의 소장품과 시설 일체를 인수하여 국립박물관 경주분관으로 1945년 10월 출범하여 1975년 7월 인왕동 신박물관으로 이전하였으며 같은 해 8월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승격되었다. 국보 제 29호 성덕대왕신종 (聖德大王神鍾) ☞ 신라역사관 국보 제 195호 토우장식 장경호 (土偶裝飾 長頸壺) ☞ 국보 제 87호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金冠塚 金冠 및 金製冠飾) ☞ 국보 제 88호 금관총 금제 허리띠 (金冠塚 金製銙帶) ☞ 국보 제 189호 천마총 관모 (天馬塚 金製冠帽) ☞ 국보 제 194호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皇南大塚..
-
국립 부여박물관여 행 2021. 10. 24. 08:30
국립 부여박물관 주 소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산16-1 홈 피 : http://buyeo.museum.go.kr/ 백제의 문화유산을 수집, 보존하고 전시하기 위하여 설립되어 1975년 국립박물관 부여분관에서 국립 부여박물관으로 승격하고, 1993년 8월 현재의 건물로 이전하였다. 국보 제 287호 백제 금동대향로 (百濟 金銅大香爐) ☞ 국보 제 288호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扶餘 陵山里寺址 石造舍利龕) ☞ 국보 제 293호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扶餘 窺岩里 金銅觀音菩薩立像) ☞ 국보 제 327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扶餘 王興寺址 出土 舍利器) ☞ (171230, 21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