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
-
대흥사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20. 7. 16. 09:00
두륜산 대흥사(頭輪山 大興寺) ☞ 주 소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799 홈 피 : http://www.daeheungsa.co.kr/ 두륜산을 대둔산(大芚山)이라 부르기도 하여 원래 사찰명은 대둔사(大芚寺)였으나, 근대 초기에 대흥사로 명칭을 바꾸었다. 426년 신라의 승려 정관존자(淨觀尊者) 창건설, 544년 아도화상(阿度和尙)의 창건설이 있으나 현재로는 정확한 창건 시점을 밝히기가 매우 어려운 상태라 하겠으나 사찰 내에서는 대체로 아도화상의 창건설을 따르고 있으며 응진전(應眞殿) 앞에 세워져 있는 삼층석탑의 제작 연대가 통일신라 말기 경으로 추정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대흥사는 늦어도 통일신라 말기 이전에 창건된 고찰로 보아야 한다. 태화산 마곡사, 속리산 법주사, 천등산 봉정사, 태백산 부석..
-
태백산 부석사 - 2조계종/그외 말사 2019. 1. 2. 08:30
태백산 부석사(太白山 浮石寺) - 2 조사당(祖師堂) - 국보 제 19호 ☞ 선비화취현암(醉玄庵)단하각(丹霞閣) 자인당(慈忍堂)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 보물 제 220-1호석조석가여래좌상(石造釋迦如來坐像) - 보물 제 1636호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 보물 제 220-2호응진전(應眞殿) 지장전(地藏殿) 박물관(博物館) 관음전(觀音殿) 삼성각(三聖閣) 화엄선원(華嚴禪院) 부석(浮石)신라 문무왕 1년(661년) 의상 대사(義湘大師)가 화엄학을 공부하기 위해 당나라에 갔을 때 의상 대사를 연모한 선묘(善妙)라는 여인이 있었다. 의상 대사는 중국 장안에 있는 종남산 지상사의 지엄삼장에게서 10년간 화엄의 도리를 배우고 깨달음을 얻은 후 귀국길에 올랐다. 뒤늦게 소식을 들은 선묘가 부두로 달려갔을..
-
태백산 부석사 - 1조계종/그외 말사 2019. 1. 1. 08:30
태백산 부석사(太白山 浮石寺) - 1 주 소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홈 피 : http://www.pusoksa.org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신라 문무왕(文武王) 16년(676년)에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왕명으로 창건한 화엄종(華嚴宗)의 수사찰(首寺刹)이다.고려 현종 7년(1016년)에 원융국사(圓融國師)가 무량수전(無量壽殿)을 중창하였고 우왕 2년(1376년)에 원응국사(圓應國師)가 다시 중수하고, 이듬해 조사당(祖師堂)을 재건하였다. 1916년에는 무량수전과 조사당을 해체 수리하였다. 태백산 부석사, 속리산 법주사, 태화산 마곡사, 영축산 통도사, 천등산 봉정사, 조계산 선암사, 두륜산 대흥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
-
법주사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18. 9. 13. 09:00
속리산 법주사(俗離山 法住寺) ☞ 주 소 :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산 1-1 홈 피 : www.beopjusa.org/index.php 신라 진흥왕 14년(553년) 의신(義信)이 창건하였다. 의신이 불법을 구하러 간 천축(天竺: 인도)에서 귀국시 나귀에 불경을 싣고 와 이곳에 절을 짓고 부처님의 법이 머무는 곳, 법주사라 하였다는 설화가 있다. 두륜산 대흥사, 태화산 마곡사, 천등산 봉정사, 태백산 부석사, 조계산 선암사, 영축산 통도사, 속리산 법주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山地僧院)"으로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161108)
-
마곡사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18. 9. 13. 08:45
태화산 마곡사(泰華山 麻谷寺) ☞ 주 소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567 홈 피 : http://www.magoksa.or.kr/ 마곡사 사적입안(事蹟立案)에 따르면 백제 무왕(百濟 武王) 41년(640년)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하여 고려 명종(高麗 明宗) 때인 1172년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중수, 범일(梵日)이 재건하고, 도선국사(道詵國師)가 다시 중수하고, 각순(覺淳)이 보수하였다 전해오고 있다. 두륜산 대흥사, 속리산 법주사, 천등산 봉정사, 태백산 부석사, 조계산 선암사, 영축산 통도사, 태화산 마곡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山地僧院)"으로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160908)
-
태화산 마곡사조계종/본사+33관음성지 2017. 10. 15. 08:30
태화산 마곡사(泰華山 麻谷寺) *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본사, 33관음성지 제5호 주 소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567홈 피 : http://www.magoksa.or.kr/ 마곡사 사적입안(事蹟立案)에 따르면 백제 무왕(百濟 武王) 41년(640년)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하여 고려 명종(高麗 明宗) 때인 1172년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중수, 범일(梵日)이 재건하고, 도선국사(道詵國師)가 다시 중수하고, 각순(覺淳)이 보수하였다 전해오고 있다. 태화산 마곡사, 영축산 통도사, 태백산 부석사, 천등산 봉정사, 속리산 법주사, 조계산 선암사, 두륜산 대흥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山地僧院)"으로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일주문(一柱門) 해탈..
-
속리산 법주사 - 2조계종/본사+33관음성지 2017. 8. 7. 08:30
속리산 법주사(俗離山 法住寺) - 2 진영각(眞影閣) 명부전(冥府殿) 삼성각(三聖閣) 석조(石槽)높이 1.3m, 길이 4.46m, 너비 2.42m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석조이다.적멸보궁(寂滅寶宮)적멸보궁은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셔 석가여래불을 모시지 않는데 이곳은 석가여래불을 중심으로 미륵보살, 갈라보살과 16나한상을 안치하여 능인전(能仁殿)이라 부른다. 세존사리탑(世尊寺利塔)1362년 공민왕이 홍건족을 물리치고 개경으로 환도 중 이곳에 행차하여 양산 통도사에 있던 부처님 진신사리 1기를 옮겨와 봉납하기 위해 세워진 것이라 전한다.사리각(舍利閣)마애여래의상(磨崖如來倚像) - 보물 제216호높이 약 6m의 고려시대 대표적인 마애불(摩崖佛) 부도전(浮屠殿)수정암 석문(水晶庵 石門) 수정암 부도전(水晶庵 ..
-
속리산 법주사 - 1조계종/본사+33관음성지 2017. 8. 6. 08:30
속리산 법주사(俗離山 法住寺) - 1 *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본사, 33관음성지 제6호 주 소 :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산 1-1홈 피 : www.beopjusa.org/index.php 신라 진흥왕 14년(553년) 의신(義信)이 창건하였다. 의신이 불법을 구하러 간 천축(天竺: 인도)에서 귀국시 나귀에 불경을 싣고 와 이곳에 절을 짓고 부처님의 법이 머무는 곳, 법주사라 하였다는 설화가 있다.금강산 발연사(金剛山 鉢淵寺), 모악산 금산사(母岳山 金山寺)와 함께 3대 미륵성지(彌勒聖地)이다. 속리산 법주사, 영축산 통도사, 태백산 부석사, 천등산 봉정사, 태화산 마곡사, 조계산 선암사, 두륜산 대흥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山地僧院)"으로 2018년 6월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