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교구
-
-
-
안동교구믿 음/성지순례(167곳) 2020. 12. 25. 15:18
안동교구 성 지 주 소 십자가의 길 자비의 문 참 고 한국 천주교 성지순례 167곳 '19. 6. 30 개정 증보판 마원 성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마원리 600-1 ☞ 상주 옥 터 경상북도 상주시 남문 2길 89-15번지 ☞ 신앙 고백비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삼괴리 361 ☞ 여우목 성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중평리 96 ☞ 우곡 성지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시거리길 397 ☞ ☞ 진안리 성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진안리 92-6 ☞ 홍유한 고택지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구구로 247 그외 목성동 주교좌성당 경상북도 안동시 서동문로 145-3 ☞ ☞ 홍 베로니카 치명 터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중평리 퇴강 성당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면 퇴강물미길 8
-
상주 옥 터믿 음/성지순례(167곳) 2020. 10. 14. 08:30
상주 옥 터 주 소 : 경상북도 상주시 성동동 633-2 상주 옥(獄) 터는 1408년(태종 8년), 경상도 관찰영이 상주에 있을 당시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 상주 옥은 박해 시기 동안 경상도 서북부 지방의 수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갇혔다가 순교한 역사의 현장이다. 특히 정해박해(1827년) 때 잣골, 멍에목, 앵무동에서 체포된 교우들, 병인박해(1866년) 때 한실과 여우목 등지에서 체포된 교우들이 이곳에 갇혔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대구 감영이나 전주 감영으로 이송되어 기해박해(1839년) 때 참수(斬首) 순교하였지만, 더 많은 교우들이 조정의 선참후계(先斬後啓) 방침에 따라 이곳에서 교수(絞首)로 순교하였다. 2014년 8월 16일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곳에서 전주(全州)로 이수(移囚)되어 순교한 신태..
-
홍유한 고택지 - 2믿 음/성지순례(167곳) 2019. 5. 7. 08:30
홍유한 고택지(휴천동 성당) - 2 ➽ - 1 (190416) 한국 천주교회가 창립된 것이 1784년, 이보다 30여 년 전에 이미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여 심신을 연마한 이가 바로 농은 홍유한이다. 비록 그가 물로 세례를 받지는 않았다 할지라도 천주교를 단순히 신학문으로서가 아니라 천지만물의 이치를 밝히는 종교적 요소를 가지고 대했다는 점에서 스 스로 신앙생활을 시작한 첫 인물로 꼽힌다. 경북 영주군 단산면 구구리(옛 지명:구고리)는 바로그의 자취가 남아 있는 곳이다. 그는 실학자 성호 이익의 문하에서 천주학을 처음 접한 뒤 바로 이곳에서 1775년부터 10년 간 학문을 통해 깨달은 신앙의 진리를 실천했다. 그는 유교와 불교에서 발견하지 못한 천주교의 진리를 깨달은 후부터 스스로 신앙생활을 시작해 "칠극..
-
우곡 성지 - 2믿 음/성지순례(167곳) 2019. 4. 30. 08:30
우곡 성지 - 2 성모동산 칠극 성당 십자가의 길 ☞ (190416) * 우곡 성지 - 3 ➽ - 3 우곡성지는 한국 최초의 수덕자로서 『칠극』의 가르침을 따라 천주교 수계 생활을 28년 동안 이어 온 농은 홍유한(1726~1785년) 선생이 모셔져 있는 곳이다. 농은 선생은 명문가 풍산 홍씨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학문에 뛰어난 자질을 보였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16세 때부터 유명한 실학자 성호 이익 선생의 문하에서 학문에 정진하였다. 그러다가 1750년경부터 성호 이익 선생의 제자들과 함께 『천주실의』, 『칠극』 등 서학을 연구 할 때, 그는 다른 제자들보다 깨달은 바가 남달리 커서 1757년경에는 서울의 살림을 정리하고 충청남도 예산으로 내 려가서 『칠극』..
-
홍 베로니카 치명 터믿 음/그외 성지,성당 등 2017. 10. 5. 08:30
홍 베로니카 치명 터 주 소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중평리 입구 도로변 홈 피 : http://cafe.daum.net/mgcatholic 관 할 : 문경 성당 2016년 9월 4일 치명비 축복식을 가졌다. (170831) * 치명비문 이곳은 이윤일 요한 성인이 박해를 피해 30여명의 신자들과 교우촌을 이루어 신앙의 삶을 살던 여우목 입구이다. 1866년 병인박해로 이윤일 요한 공소회장과 그의 가족 8명, 공소 신자 30여명이 체포되어 문경현으로 이송되던 중 홍 베로니카는 이곳에서 포졸에 의해 죽음을 맞이했다. 홍 베로니카는 여우목 아래 큰 마을에 살던 80여세된 할머니였다. 병인박해로 신자들과 함께 포졸들에게 붙잡혀 갈 때 나이가 많아서 걸음을 잘 걷지 못하여 계속 대열에서 뒤떨어지자 포졸이 "노파..
-
진안리 성지 - 2믿 음/성지순례(167곳) 2017. 10. 4. 08:30
진안리 성지 - 2 ➽ - 1 (170831) 진안리 성지는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사제가 된 최양업 토마스 신부가 선종한 곳으로 문경시 문경읍에서 문경 관문 방향으로 1km 정도 가면 닿을 수 있다. 조령, 이화령, 하늘재 등은 옛날부터 경상도에서 서울로 가는 이름난 통로로서 숱한 전설과 애환이 서려 있다.특히 일명 ‘새재’ 라고 하는 조령은 옛날 영남 지방에서 서울로 가는 통로이며 군사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요새이다. 그러므로 조선조 숙종 34년(1780년)에 영남의 현관인 이곳에 관문과 성벽을 축조하였다. 제1관문인 주흘관, 제2관문인 조곡관, 제3관문인 조령관이 서 있는데 각각 약 3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이렇게 이 지방이 충북과 경계를 이루는 영남의 관문이기에 과거는 물론,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