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군
-
국보 제 308호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국 보 2020. 8. 1. 08:30
국보 제 308호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 (海南 大興寺 北彌勒庵 磨崖如來坐像) 소재지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산8-1번지, 대흥사 북미륵암 지정일 : 2009년 09월 02일 바위면에 고부조(高浮彫)되어 있는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은 공양천인상이 함께 표현된 독특한 도상의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여래좌상으로 규모가 크고 조각수법도 양감이 있고 유려하여 한국의 마애불상 중에서는 그 예가 매우 드물고 뛰어난 상으로 평가된다. 본존불의 육계(肉髻)가 뚜렷한 머리는 언뜻 머리칼이 없는 민머리(素髮)처럼 보이나 나발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이목구비의 표현이 단정한 얼굴은 살이 찌고 둥글넓적하여 원만한 상이다. 그러나 눈 꼬리가 약간 위로 치켜 올라가고 입을 굳게 다물어 근엄한 인상을 풍..
-
고산 윤선도 유적지여 행 2020. 7. 26. 08:30
고산 윤선도 유적지 주 소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82 홈 피 : http://gosan.haenam.go.kr/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 1587~1671)의 유적지(遺跡地)이다. 윤선도의 자는 약이(約而), 호는 고산(孤山) 또는 해옹(海翁)이다. 유물전시관(遺物展示館) 윤두서 자화상(尹斗緖 自畵像) - 국보 제 240호 ☞ 어부사시사 시비(漁父四時詞 詩碑) 녹우당(綠雨堂) - 사적 제 167호 충헌각(忠憲閣) 고산 사당(孤山 祠堂) 어초은 사당(漁樵隱 祠堂) 추원당(追遠堂) - 추원(追遠)은 돌아가신 조상이나 부모를 추모하고 숭배함을 뜻한다. (200513)
-
국보 제 240호 윤두서 자화상국 보 2020. 7. 25. 08:30
국보 제 240호 윤두서 자화상 (尹斗緖 自畵像) 소재지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82, 고산윤선도 유적지 지정일 : 1987년 12월 26일 윤두서가 직접 그린 자신의 자화상으로 크기는 가로 20.5㎝, 세로 38.5㎝이다. 윤두서(1668∼1715)는 고산 윤선도의 증손자이자 정약용의 외증조로 조선 후기 문인이며 화가이다. 종이에 옅게 채색하여 그린 이 그림은 윗부분을 생략한 탕건을 쓰고 눈은 마치 자신과 대결하듯 앞면을 보고 있으며 두툼한 입술에 수염은 터럭 한올한올까지 섬세하게 표현하였다. 화폭의 윗부분에 얼굴이 배치되었는데 아래 길게 늘어져 있는 수염이 얼굴을 위로 떠받치는 듯하다. 우리나라의 자화상은 허목의『미수기언』이나 김시습의『매월당집』을 보면 고려시대에도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1..
-
대흥사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20. 7. 16. 09:00
두륜산 대흥사(頭輪山 大興寺) ☞ 주 소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799 홈 피 : http://www.daeheungsa.co.kr/ 두륜산을 대둔산(大芚山)이라 부르기도 하여 원래 사찰명은 대둔사(大芚寺)였으나, 근대 초기에 대흥사로 명칭을 바꾸었다. 426년 신라의 승려 정관존자(淨觀尊者) 창건설, 544년 아도화상(阿度和尙)의 창건설이 있으나 현재로는 정확한 창건 시점을 밝히기가 매우 어려운 상태라 하겠으나 사찰 내에서는 대체로 아도화상의 창건설을 따르고 있으며 응진전(應眞殿) 앞에 세워져 있는 삼층석탑의 제작 연대가 통일신라 말기 경으로 추정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대흥사는 늦어도 통일신라 말기 이전에 창건된 고찰로 보아야 한다. 태화산 마곡사, 속리산 법주사, 천등산 봉정사, 태백산 부석..
-
두륜산 대흥사조계종/본사+33관음성지 2020. 7. 16. 08:30
두륜산 대흥사(頭輪山 大興寺) *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본사, 33관음성지 제11호 주 소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799 홈 피 : http://www.daeheungsa.co.kr/ 두륜산을 대둔산(大芚山)이라 부르기도 하여 원래 사찰명은 대둔사(大芚寺)였으나, 근대 초기에 대흥사로 명칭을 바꾸었다. 426년 신라의 승려 정관존자(淨觀尊者) 창건설, 544년 아도화상(阿度和尙)의 창건설이 있으나 현재로는 정확한 창건 시점을 밝히기가 매우 어려운 상태라 하겠으나 사찰 내에서는 대체로 아도화상의 창건설을 따르고 있으며 응진전(應眞殿) 앞에 세워져 있는 삼층석탑의 제작 연대가 통일신라 말기 경으로 추정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대흥사는 늦어도 통일신라 말기 이전에 창건된 고찰로 보아야 한다.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