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순례
-
불무골 교우촌믿 음/그외 성지,성당 등 2025. 2. 26. 08:30
불무골 교우촌 주 소: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흥림리 산 84-1 불무골은 최양업 신부가 1857년 9월에 두 통의 서한을 작성한 곳이다. 마카오 신학교의 스승이었던 르그레즈와 신부와 리브와 신부에게 각각 올린 서한에는 사목보고와 더불어 조선의 박해 상황과 이에 따른 최양업 신부의 노고를 미루어 짐작해볼 수 있는 사목 활동들의 내용이 소상히 적혀 있다. (1857년 9월 14일 자, 9월 15일 자 편지) 현 주소지 일대가 교우촌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출처 : 희망의 순례자) (241119)
-
접푸리 교우촌믿 음/그외 성지,성당 등 2025. 2. 12. 08:30
접푸리 교우촌 주 소 : 인천광역시 서구 도요지로 54, 녹청자 박물관 접푸리 교우촌은 최앙업 신부가 한국인 최초의 신학생으로 선발된 곳이다. 김화읍 김성(금성)에서 접푸리로 다시 이사를 하면서 집안 살림은 점점 어려워졌지만 최양업 신부와 그 가족들은 곳곳하게 신앙을 지켜 갔다. 1836년 2월, 접푸리에서 한국인 최초의 신학생으로 선발된 최양업 신부는 같은 해 12월 유학을 떠나게 된다. 최양업 신부 가족은 접푸리에서 3년(1835~1838년)을 살다가 수리산으로 이주한다. 정확한 위치가 확인되지는 않으나 현재 녹청자 박물관이 있는 일대가 접푸리 교우촌이 있었던 곳으로 여겨진다. (출처 : 희망의 순례자) (241029)
-
성거산 성지 - 4믿 음/성지순례(167곳) 2024. 12. 25. 08:30
성거산 성지 - 4 ➽ - 1 십자가의 길 ☞ 십자가의 길 ☞ 제 1줄무덤 제 2줄무덤(241015)
-
-
서지마을 (서지 교우촌)믿 음/그외 성지,성당 등 2024. 12. 11. 08:30
서지마을 (서지 교우촌) 주 소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손곡리 343 서지마을은 최양업 신부의 서한에 등장하는 최양업 신부의 먼 친척인 복자 최해성 요한이 살던 교우촌이다. 최해성은 서지마을에 작은 교우촌을 만들어 이웃들에게 교리를 가르치고 착한 표양으로 모든 이의 귀감이 되었다. 최양업 신부는 극도로 비참한 가난과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변치 않는 인내심을 발휘했고, 이웃들에게 베푸는 삶에 충실했던 순교자 최해성의 이야기를 그의 서신에서 전하고 있다. (출처 : 희망의 순례자) 십자가의 길 ☞ (241008)
-
봉암성지믿 음/그외 성지,성당 등 2024. 11. 20. 08:30
봉암성지 주 소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봉현리 318-3 봉암성지의 방축골과 계마대는 1839년 기해박해 이후 신자들이 교우촌을 이루고 신앙생활을 이어 온 곳이다. 최양업 신부는 사목 순방 중 방축골과 계마대에 들러 교우들에게 성사를 주고, 이곳에 살던 신자 김백심의 아들 사도요한을 신학생으로 선발했다. 김 사도요한은 배티 신학교를 거쳐 말레이시아 페낭의 신학교에서 학업을 이어 갔으나 조선에 돌아 온 후에 환속하여, 사제가 되지는 못했다. 1866년의 병인박해 때 김백심, 김 사도요한을 포함하여 총 6명의 순교자가 나왔다. (출처 : 희망의 순례자) 십자가의 길 ☞ 십자가의 길 ☞ (240924)
-
한덕골 교우촌믿 음/그외 성지,성당 등 2024. 11. 5. 08:30
한덕골 교우촌 ➽ - 1 주 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묵리 619-1 최양업 신부는 1849년 4월 상해에서 사제품을 받고, 그해 12월 압록강을 건너 의주를 통해서 조선으로 귀국하게 된다. 이후 충청도로 이동하여 페레올 주교에게 귀국 보고를 한 후, 양친의 순교 이후 넷째 동생 최신정을 보살펴 주던 작은아버지 최영겸 베드로가 살던 이곳 한덕골 교우촌을 방문하여 동생들과 만나서 며칠간 머무르며 형제들을 위로했다. (출처 : 희망의 순례자) (24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