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군
-
동리산 태안사조계종/그외 말사 2024. 5. 2. 08:30
동리산 태안사 (桐裏山 泰安寺) 주 소 :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20 홈 피 : http://www.taeansa.org/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華嚴寺)의 말사로 신라 경덕왕 1년(742년)에 3명의 신승(神僧)이 창건하였고, 고려 태조 때 광자대사(廣慈大師) 윤다(允多)가 중창하여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하나인 동리산파(桐裏山派)의 중심사찰로 삼았다. 능파각(凌波閣) 3층석탑(三層石塔) 일주문(一柱門) - 보물 제 2234호 부도전(浮屠殿) 태안사 광자대사탑비(泰安寺 廣慈大師塔碑) 고려시대 승려 광자대사 윤다(允多)의 탑비로 보물 제 275호이다. 태안사 광자대사탑(泰安寺 廣慈大師塔) 광자대사의 사리를 모시고 있는 고려시대의 탑으로 보물 제 274호이다. 보제루(普濟樓) 범종각..
-
경찰 충혼탑여 행 2024. 4. 27. 08:30
경찰 충혼탑(忠魂塔) 주 소 :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윈달리 20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이 남침하자 당시 한정일 경찰서장과 300여명의 곡성경찰은 곡성군 이곳 봉두산 기슭 태안사 경내에 작전지휘 본부를 설치 방어태세를 구축하고 있던 차, 순천에 주둔 중인 북한군 제 603 기갑연대가 남원으로 이동하기 위해 압록교를 통과한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압록교부근에서 매복작전을 통한 치열한 교전으로 적을 섬멸하는 통쾌한 전과를 거양하였으나 북한군은 이에 대한 반격으로 8월 6일 새벽 이곳 태안사 작전지휘본부를 기습공격, 치열한 전투 끝에 경찰관 48명이 이곳 태안사에서 장렬히 전사하였는 바, 전사 경찰관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참전동지들의 성금과 국가의지원으로 1985년 현재의 충혼탑을 건립하여 매년 8월..
-
곡성 옥 터 - 2믿 음/성지순례(167곳) 2020. 7. 22. 08:30
곡성 옥 터 - 2 ➽ - 1 (200512) 수려한 섬진강과 지리산 자락에 위치한 곡성 성당은 1827년 발생한 정해박해의 진원지이자 교우들이 붙잡혀 와 갇힌 옥터가 있는 곳이다. 1815년경 을해박해를 피해 남으로 남으로 숨어들어온 신자들이 곡성 지방 덕실마을(승법리)과 미륵골에 정착하면서 이들은 생계유지와 신앙생활을 위해 가마 를 열고 옹기를 구워 팔며 생활하게 된다. 1827년 2월 어느 날 가마를 여는 축하연 자리에서 사소한 시비가 발단이 되어 관가에 천주교 신자를 고발하는 사건이 발생, 신자들을 체포하여 옥에 가두고 고문하는 탄압의 손길이 전국으로 확산되니 이 사건이 바로 정해박해의 시발점이 된다. 정해박해는 여느 박해와 달리 그 기간은 짧았지만 탄압의 정도는 매우 심해서 전라도 지역에서는 교..
-
곡성 옥 터믿 음/성지순례(167곳) 2016. 5. 24. 08:30
곡성 옥 터(곡성 성당) 주 소 :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읍내리 425-1 홈 피 : http://ch.catholic.or.kr/oktersj 주보성인 : 묵주 기도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곡성은 정해박해(1827년)의 발상지이자 교우들이 붙잡혀 와 갇힌 옥 터가 있는 곳으로 당시 옹기굴 직공의 대부분이 천주교 신자였는데, 1827년 덕실 마을의 한 옹기점에서 가마를 여는 축하연 중 순교자 한덕운의 아들인 한백겸이 술에 취해 행패를 부렸고, 주막집 주인이 현감에게 몇몇 신자들을 고발하면서 정해박해가 시작되었다. 여느 박해와 달리 그 기간은 짧았지만 탄압의 정도는 매우 심해서 대부분이 배교하였으나 그 와중에도 이 막달레나, 이성지, 이성삼, 이경언 등은 끝까지 신앙을 지켜 옥사 또는 순교하였다. 박해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