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시
-
김대건 신부 첫 사목성지믿 음/그외 성지,성당 등 2024. 10. 15. 08:30
김대건 신부 첫 사목성지 주 소 :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홍교리 101-1 이곳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제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가 첫성무를 수행한 곳이다. 김대건 신부는 1845년 8월 17일 상해 김가항 성당에서 사제로 서품되었다. 이후 조선교구장 페레올 주교와 다블뤼 신부 그리고 조선인 교우 11명과 함께 10월 12일 강경 포구 인근의 외딴 곳에 상륙하였다. 김신부는 교우 구순오의 집에 한 달 남짓 머물며 고국에서 첫 사목활동을 시작하였다. 한편 강경은 페레올 주교가 2개월 이상 은거하며 자신의 교구에서 처음으로 교구장의 직무를 수행한 장소이다. (240904)
-
강경 성당믿 음/그외 성지,성당 등 2021. 10. 20. 08:30
강경 성당주 소 :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중앙리 228주보성인 : 성 김대건 안드레아1945년 논산 부창동 성당을 모본당으로 설립되어 1961년 성당 봉헌식을 가졌다. 보드뱅 신부의 설계와 감독으로 당시로는 특이한 구조방식인 첨두형 아치보로 내부를 구성하는 등 현대적 처리가 돋보이는 성당 건축물로 2015년 등록문화재 제650호로 지정되었다. 십자가의 길 ☞ 십자가의 길 ☞ 성 김대건 기념관 김대건 신부님이 사제품을 받은 상해 김가항(金家港)성당을 본 뜬 기념관으로 2019년 건립되었다. 십자가의 길 ☞ (210915)
-
반야산 관촉사조계종/그외 말사 2020. 4. 2. 08:30
반야산 관촉사(般若山 灌燭寺) 주 소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254홈 피 : https://gwanchoksa.modoo.at/ 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 마곡사(麻谷寺)의 말사로 고려 광종 19년(968년)에 혜명화상(慧明和尙)이 1백여명의 장인과 함께 970년 석조미륵보살입상(石造彌勒菩薩立像)의 조성 공사를 시작하여 목종 9년(1006년) 완성했다. 일주문(一柱門)천왕문(天王門) 명곡루(明谷樓) 불광보조(佛光普照)요사채(寮舍寨)대광명전(大光明殿) 윤장대(輪藏臺) 명부전(冥府殿) 미륵전(彌勒殿) 석조미륵보살입상(石造彌勒菩薩立像) - 국보 제 323호 ☞종무소(宗務所)종루(鍾樓) 석문/해탈문(石門/解脫門) - 문화재자료 제 79호 석등(石燈) - 보물 제 232호오층석탑..
-
국보 제 323호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국 보 2020. 3. 28. 08:30
국보 제 323호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論山 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 소재지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254, 관촉사 지정일 : 2018년 04월 20일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고려 광종(光宗, 재위 949~975)의 명으로 968년경 승려 조각장 혜명(慧明)이 제작한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석불로서,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218호로 지정․관리되어 오다가, 이번에 고려시대 신앙과 불교조각사에 있어서의 위상을 재평가 받아 국보로 승격하게 되었다. 석불과 관련된 기록은 고려 말 승려 무외(無畏)가 쓴 「용화회소(龍華會䟽)」를 비롯해『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년), 고려 문인 이색(李穡, 1328~1396)의 시 등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내용을 종합해 보면 고..
-
돈암서원세계유산/한국의 서원 2020. 3. 15. 08:30
돈암서원 (遯巖書院) 주 소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임리 74 홈 피 : http://www.donamseowon.co.kr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 1548~1631)이 타계한지 3년 후인 인조 12년(1634년) 충청도 연산현(連山縣)의 임리(林里)에 창건되었다. 처음에는 김장생 문인들이 스승을 추모하여 사우를 건립한 뒤 위패를봉안하고 제사를 지내오다 사당 앞에 강당을 건립하면서 서원의 단초를이루었다. 현재의 연산면 임리(林里, 숲말)에 창건하면서 서원 서북쪽에 있던 돈암이란 큰 바위의 이름을 일컬어 서원의 이름을 돈암이라 하였다 한다. 고종 8년(1871년)의 전국적 서원 훼철령에서도 철폐되지 않고 보존되었지만 고종 18년(1881년)에 이르러 숲말의 지대가 낮아 홍수 때마다 서원 뜰 앞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