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시
-
국보 제 345호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국 보 2024. 7. 27. 08:30
국보 제 345호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順天 松廣寺 靈山會上圖 및 八相圖) 주 소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송광사 지정일 : 2024년 05월 27일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는 송광사 영산전에 봉안하기 위해 일괄로 제작한 불화로 영산회상도 1폭과 팔상도 8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산회상도 화기에 ‘영산회상(靈山會上)’과 같은 화제나 후불벽 봉안을 의미하는 ‘후불도(後佛圖)’ 대신 ‘팔상회(八相繪)’라는 용어를 사용해 해당 영산회상도가 팔상도의 주불화로 일괄 제작되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팔상도는 석가모니의 생애에서 역사적인 사건을 8개의 주제로 표현한 불화로, 팔상의 개념은 불교문화권에서 공유되었지만 이를 구성하는 각 주제와 도상, 표현 방식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다...
-
국보 제 314호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국 보 2021. 8. 19. 08:30
국보 제 314호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順天 松廣寺 華嚴經變相圖)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송광사 지정일 : 2009년 09월 02일 『화엄경』의 7처9회(七處九會)의 설법내용을 그린 변상도로, 비단 바탕에 채색하여 그린 그림이다. 이 화엄탱은 기본구성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구도상 상·하단 모두 법회장면이 거의 대칭을 이루며 펼쳐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랫부분에는 제1회 ‘보리도량회’를 중심으로 왼쪽에는 보광명전에서 열린 제7회·제2회·제8회가 자리하였으며, 오른쪽에는 제9회 ‘서다림회’가 위치해 있다. 그리고 윗부분에는 아래로부터 위로 진행되면서 오른쪽에 제3회 ‘도리천궁회’와 제4회 ‘야마천궁회’를, 왼쪽에 제5회 ‘도솔천궁회’와 제6회 ‘타화자재천궁회’를 배치시켜 ..
-
선암사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21. 8. 18. 08:30
조계산 선암사(曹溪山 仙巖寺) ☞ 주 소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홈 피 : http://www.seonamsa.net/ 신라 헌강왕 1년(875년)에 도선(道詵)이 창건하여 고려 선종 5년(1088년) 의천(義天)이 중창하였으며 2009년 12월에 사적 제507호로 지정되었다. 두륜산 대흥사, 태화산 마곡사, 속리산 법주사, 천등산 봉정사, 태백산 부석사, 영축산 통도사, 조계산 선암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山地僧院)"으로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210701)
-
국보 제 43호 혜심고신제서국 보 2021. 8. 14. 08:30
국보 제 43호 혜심고신제서 (慧諶告身制書)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송광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이 문서는 고려 고종 3년(1216)에 조계산 송광사 제2세 진각국사 혜심에게 대선사의 호를 내릴 것을 제가(制可)한 것이다. 이것은 능형화문의 무늬가 있는 홍, 황, 백색 등의 비단 7장을 이어서 만든 두루마리에 묵서한 것으로, 크기는 가로 3.6m, 세로 33㎝이다. 이것은 고려시대 승려에게 하사한 제서 중 몇 점 되지 않는 귀중한 자료이다. (출처 : 문화재청) 시 대 : 서기 1216년 고려 고종이 조계산 제2세 진각국사 慧諶(혜심)에게 大禪師(대선사)의 호를 하사한 制書(제서)이며, 비단은 斷落(단락)되고 글자도 마멸되어 全文(전문)을 판독할수 없으나 고려시대의..
-
조계산 선암사조계종/본사+33관음성지 2021. 8. 12. 08:30
조계산 선암사(曹溪山 仙巖寺) * 한국불교태고종 태고총림 (명목상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본사로 소속 승려나 신도는 없다.) 주 소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홈 피 : http://www.seonamsa.net/ 신라 헌강왕 1년(875년)에 도선(道詵)이 창건하여 고려 선종 5년(1088년) 의천(義天)이 중창하였으며 2009년 12월에 사적 제507호로 지정되었다. 조계산 선암사, 두륜산 대흥사, 속리산 법주사, 영축산 통도사, 태백산 부석사, 태화산 마곡사, 천등산 봉정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山地僧院)"으로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부도전(浮屠殿) 승선교(昇仙橋) - 숙종 39년(1713년) 호암대사(護巖大師)가 축조한 높이 7m, 너..
-
국보 제 42호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국 보 2021. 8. 7. 08:30
국보 제 42호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順天 松廣寺 木彫三尊佛龕)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송광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불상을 모시기 위해 나무나 돌, 쇠 등을 깎아 일반적인 건축물보다 작은 규모로 만든 것을 불감(佛龕)이라 한다. 불감은 그 안에 모신 불상의 양식뿐만 아니라, 당시의 건축 양식을 함께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목조삼존불감은 보조국사 지눌이 중국에서 돌아오는 길에 가져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불감은 모두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운데의 방을 중심으로 양쪽에 작은 방이 문짝처럼 달려 있다. 문을 닫으면 윗부분이 둥근 팔각기둥 모양이 되는데, 전체 높이는 13㎝이고, 문을 열었을 때 너비 17㎝가 되..
-
조계산 송광사조계종/본사+33관음성지 2021. 8. 5. 08:30
조계산 송광사(曹溪山 松廣寺) *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본사, 33관음성지 제13호 주 소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홈 피 : http://www.songgwangsa.org/ 신라 말 혜린선사(慧璘禪師)가 창건 송광산 길상사(松廣山 吉祥寺)라 하였으며 고려 명종(明宗) 때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이 9년 동안의(명종 27년1197년 ~ 희종 원년) 중창불사로 절의 면모를 일신하고 정혜결사운동(定慧結社 - 지눌이 벌인 선불교 부흥을 위한 결사운동)에 동참하는 수많은 대중을 지도하여 한국불교의 새로운 전통을 확립하였다. 승보사찰(僧寶寺刹) 송광사는 법보종찰(法寶宗刹) 해인사, 불보사찰(佛寶寺刹) 통도사와 더불어 한국의 삼보 사찰로 꼽힌다. 2009년 12월 ..
-
국보 제 56호 순천 송광사 국사전국 보 2021. 7. 31. 08:30
국보 제 56호 순천 송광사 국사전 (順天 松廣寺 國師殿)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송광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조계산에 있는 송광사는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매우 유서 깊은 절이다. ‘송광’이라는 절 이름은 조계산의 옛 이름인 송광산에서 따 왔다고 하는데, 절을 언제 세웠는지 정확한 자료는 없고 신라 말기에 체징이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송광사 국사전은 나라를 빛낸 큰 스님 16분의 영정을 모시고 그 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건물로, 옛날에는 참선을 하던 곳이었다. 고려 공민왕 18년(1369)에 처음 지었고, 그 뒤 두 차례에 걸쳐 보수하였다. 앞면 4칸·옆면 3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