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
-
-
내장산 내장사조계종/그외 말사 2022. 11. 11. 08:30
내장산 내장사 (內藏山 內藏寺) 주 소 :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동 590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로 백제 무왕 37년(636년) 영은조사(靈隱祖師)가 창건한 절로 영은사(靈隱寺)라 하였으나 근래에 내장사로 바뀌었다. 일주문(一柱門)부도전(浮屠殿) 천왕문(天王門) 정혜루(定慧樓) 종무소(宗務所)극락전(極樂殿) 관음전(觀音殿) 큰법당2021년 3월 방화로 대웅전이 완전히 전소되었다. 범종각(梵鐘閣)다례문화원(茶禮文化院)명부전(冥府殿) 삼성각(三聖閣) (221107)
-
무성서원세계유산/한국의 서원 2020. 5. 2. 08:30
무성서원 (武城書院) 주 소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500 무성서원은 신라말 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 선생이 태산태수(泰山太守)로 부임하여 8년동안 선정을 베풀고 많은 치적을 남기고 이임하여 떠나자 주민들이 생사당(生洞堂 : 생존해 있는 사람을 모시는 사당)을 세우고 태산사(泰山祠)라고 한데서 유래되었다. 이후 중종 39년(1544년) 태인현감으로 부임한 신잠(申潛)선생이 6년에 걸쳐 선정을 베풀다가 강원도 간성(杆城)군수로 전임되어 떠나자 주민들이 역시 생사당을 세워 배향하다가 고운 선생의 태산사와 합하였다. 그후 광해군 7년(1615년) 고을유림들이 서원을 세웠는데 숙종 22년(1696년) ‘무성서원(武城書院)’ 이라 사액(賜額)을 받았으며 불우헌 정극인(不憂軒 丁克仁), 늘암 송세림(纳..
-
국보 제 232호 이화 개국공신녹권국 보 2019. 2. 19. 08:30
국보 제 232호 이화 개국공신녹권 (李和 開國功臣錄券) 소재지 : 전라북도 정읍시 지정일 : 1986년 10월 15일 공신녹권은 나라에 공이 있는 인물에게 공신으로 임명하는 증서로, 개국공신록권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나라를 세우는데 공헌한 신하들에게 내린 것이다. 이 문서는 조선 태조 1년(1392)에 조선개국에 공을 세운 이화에게 내린 녹권이다. 이성계의 아버지 환조(桓祖)는 서자 2명이 있었는데 그 중 둘째 아들이 바로 이화이다. 크기를 보면 세로 35.3㎝의 닥나무종이 9장을 붙여 전체 길이가 604.9㎝에 이르며, 본문 앞 여백의 바깥쪽을 장식하고 보호하기 위해 33㎝의 명주와 안쪽을 보강한 명주는 부식되어 없어진 두루마리이다. 내용을 보면 녹권을 받는 사람의 성명에 이어 공신들의 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