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적멸보궁(寂滅寶宮)
    조계종/불교 용어 2017. 9. 22. 09:00

    적멸보궁(寂滅寶宮)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봉안한 전각을 적멸보궁(寂滅寶宮)이라 하며 우리나라에는 신라의 자장율사(慈藏律師)가 당나라에서 가져온 부처님 사리(舍利)와 정골(頂骨)을 나눠 봉안한 5대 적멸보궁(寂滅寶宮)이 있다.  이 중 태백산 정암사 보궁의 사리는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왜적의 노략질을 피해서 통도사의 것을 나누어 봉안한 것이다.

    보궁(寶宮)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화엄경(華嚴經)>을 설한 중인도(中印度) 마가다국 가야성의 남쪽 보리수 아래 금강좌(金剛座)에서 비롯되어 불사리(佛舍利)를 봉안함으로 부처님이 항상 그곳에서 적멸의 법을 법계에 설하고 있음을 상징하게 됐다. 그래서 적멸보궁에는 불상(佛像)을 안치하지 않고 보궁의 바깥쪽에 사리탑(舍利塔)을 세우거나 계단(戒壇)을 만들기도 한다. 


    5대 보궁(五大 寶宮)


    양산 통도사(通度寺)

    오대산 중대(中臺)에 있는 상원사(上院寺)

    설악산 봉정암(鳳頂庵)

    사자산 법흥사(法興寺),

    태백산 정암사(淨巖寺)


    '조계종 > 불교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가모니(釋迦牟尼)  (0) 2017.10.08
    불교(佛敎)  (0) 2017.09.23
    총림(叢林)  (0) 2017.08.05
    삼보(三寶)  (0) 2017.08.04
    교구본사+한국33관음성지  (0) 2017.06.25

    댓글

© 2016.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