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
경주 포석정지세계유산/경주 역사유적지구 2022. 1. 8. 08:30
경주 포석정지(慶州 鮑石亭址) 주 소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454-3 신라 제49대 헌강왕(875~885)때 연회장소로 물길은 22m이며 높낮이의 차가 5.9㎝이다. 좌우로 꺾어지거나 굽이치게 한 구조에서 나타나는 물길의 오묘한 흐름은 뱅뱅돌기도 하고 물의 양이나 띄우는 잔의 형태, 잔 속에 담긴 술의 양에 따라 잔이 흐르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다고 한다. 1963년 1월 사적 제 1호로 지정되었으며 경주 역사유적지구(경주시 5개 지구의 신라시대 역사 유적들)로 2000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211019)
-
통도사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21. 12. 22. 08:30
영축산 통도사(靈鷲山 通度寺) ☞ 주 소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 홈 피 : http://www.tongdosa.or.kr/ 신라 선덕여왕 15년(646년) 자장(慈藏)이 당나라에서 불법을 배우고 돌아와 신라의 대국통(大國統)이 되어 왕명에 따라 창건하였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조선 인조 23년(1645)에 다시 지었다. 두륜산 대흥사, 태화산 마곡사, 속리산 법주사, 천등산 봉정사, 태백산 부석사, 조계산 선암사, 영축산 통도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山地僧院)"으로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211014)
-
양동마을세계유산/한국의 역사마을 2021. 12. 8. 08:30
양동(良洞)마을 주 소 :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125 홈 피 : http://yangdong.invil.org/index.html 월성 손씨(月城 孫氏)와 여강 이씨(驪江 李氏)의 양대문벌로 이어 내려온 씨족마을로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 189호로 지정 당시에는 '월성 양동마을(月城 良洞마을)'이었으나, "경주(慶州)"는 고려시대 이후부터 꾸준히 이어져 온 명칭임에 반해 "월성(月城)"은 한 때의 행정편의에 따라 한시적으로 쓰였던 행정구역 명칭으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경주 양동마을(慶州 良洞마을)'로 2009년 2월 변경하였다. 2010년 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손종로 정충비각(孫宗老 旌忠碑閣) 관가정(觀稼亭) 이..
-
옥산서원세계유산/한국의 서원 2021. 12. 1. 08:30
옥산서원 (玉山書院) 주 소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7 조선 중종 때의 문신인 회재 이언적(晦齋 李彦迪, 1491~1553)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자 1572년 경주부윤 이제민(李齊閔)과 지방유림의 뜻에 따라 서원을 창건하였으며 선조 7년(1574년) 옥산서원(玉山書院)으로 사액(賜額)되었다. 고종 5년(1868년) 흥선 대원군이 서원철폐령을 내렸을 때에도 헐리지 않고 살아남은 47개의 서원과 사당 중 하나이다. 1967년 3월 사적 제154호로 지정되었다. 남계서원, 도동서원, 도산서원, 돈암서원, 무성서원, 병산서원, 소수서원, 필암서원, 옥산서원 9개 서원이 "한국의 서원(書院)"으로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세심대(洗心臺) 역락문(亦樂門) 무변루(無邊樓) 암수재(..
-
고창 고인돌 유적세계유산/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 2021. 11. 3. 08:30
고창 고인돌 유적 주 소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 산63번지 외 지석묘란 선사시대 무덤형식의 하나로 고인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라북도 고창군 죽림리와 도산리일대에 매산마을을 중심으로 동서로 약 1,764m 범위에 447기가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고인돌 군집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다. 기원전 400년∼500년 무렵 청동기시대 사람들의 집단무덤으로, 이 지역을 지배했던 족장들의 가족무덤인 듯 하다. 당시에 살았던 사람들은 낮은 야산과 농사 짓기 좋은 이 지역에 터를 잡았던 것으로 보인다. 10톤 미만에서 300톤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으며 바둑판 모양의 남방식, 탁자 모양의 북방식, 천장돌만 있는 개석식 등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고인돌의 각종 형식을 갖추고..
-
선암사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21. 8. 18. 08:30
조계산 선암사(曹溪山 仙巖寺) ☞ 주 소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홈 피 : http://www.seonamsa.net/ 신라 헌강왕 1년(875년)에 도선(道詵)이 창건하여 고려 선종 5년(1088년) 의천(義天)이 중창하였으며 2009년 12월에 사적 제507호로 지정되었다. 두륜산 대흥사, 태화산 마곡사, 속리산 법주사, 천등산 봉정사, 태백산 부석사, 영축산 통도사, 조계산 선암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山地僧院)"으로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210701)
-
안동 하회마을세계유산/한국의 역사마을 2020. 11. 1. 08:30
안동 하회마을 (安東 河回마을) 주 소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풍산 유씨의 씨족마을로 유운룡·유성룡 형제 대(代)부터 번창하게 된 마을이라고 한다. 낙동강 줄기가 S자 모양으로 동·남·서를 감싸 돌고 있고 독특한 지리적 형상과 빼어난 자연경관을 갖추고 있다. 유씨가 집단 마을을 형성하기 전에는 대체로 허씨, 안씨 등이 씨족으로 살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고유의 '하회별신굿탈놀이'로 유명한 이 마을은 크게 남촌과 북촌으로 나눌 수 있으며 유서 깊고 제법 크기를 갖춘 많은 문화재를 잘 보존하고 있다. 특히 별신굿에 쓰이던 탈들은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데, 그 제작 연대를 고려 시대로 추정하고 있어 마을의 역사가 뿌리 깊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대표적 가옥이라 할 수 있는 양진당(보물 제306호),..
-
병산서원세계유산/한국의 서원 2020. 8. 22. 08:30
병산서원 (屛山書院) 주 소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30 고려 때 안동부 풍산현에 있던 풍악서당(豊岳書堂)을 모태로 선조 5년(1572년)에 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 1542~1607)이 지금의 장소로 옮겼다. 광해군 5년(1613년) 그의 제자인 정경세(鄭經世)가 중심이 되어 류성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존덕사(尊德祠)를 창건하며 사원이 되었으며 철종 14년(1863년)에 병산서원(屛山書院)으로 사액(賜額)되었다. 1978년 3월 사적 제260호로 지정되었다. 남계서원, 도동서원, 도산서원, 돈암서원, 무성서원, 소수서원, 옥산서원, 필암서원, 병산서원 9개 서원이 "한국의 서원(書院)"으로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복례문(復禮門) 만대루(晩對樓) 광영지(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