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불교 용어
-
사찰의 건축물 6조계종/불교 용어 2018. 11. 1. 08:30
* 탑(塔) 이것은 Stupa 또는 Thupa이라 하는 것인데 원래는 부처님의 사리를 보안하고 그 위에 흙이나 돌을 높이 쌓아 만들었던 것이 최초의 기원이며 이것을 번역하자면 무덤, 영지(靈地), 묘(廟)등으로 후세에 이르러 사리가 들지 않는 것도 쌓아 올려 탑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중국에서는 전탑(塼塔), 우리나라에서는 석탑(石塔), 일본에서는 목탑(木塔)이 특수하게 발달하였다. 여러 사람들이 돌 한덩어리씩이라도 다같이 힘을 모아 쌓아올린 공덕의 힘을 표시하는 것이라 볼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맑고 아름다운 도량을 장엄하는데 뜻을 가지기도 한다. * 석등(石燈) 등불을 안치하는 것으로 주로 불전 앞에 세워두는 석조물이다. 불교에서는 등불을 밝히는 것이 공양 중에서도 으뜸이므로 일찍부터 등불을 안치하는 ..
-
사찰의 건축물 5조계종/불교 용어 2018. 10. 25. 08:30
* 산신각(山神閣) 산이 많은 우리 나라에서는 산신에 대한 숭배가 고대로부터 내려오고 있었는데 이러한 민간신앙을 흡수하여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산신각 안에는 수호신인 호랑이와 함께 산신의 모습을 그린 탱화가 모셔지는데 어떤 경우에는 여자 산신이 등장하기도 한다. 이 건물은 불교의 민간 신앙적 성격을 보여주며 많은 중생을 확보하려는 필요성에서 등장한 것으로 파악된다. 산령각(山靈閣)이라고도 한다. * 칠성각(七星閣) 수명장수신인 칠성을 봉안한 전각으로서 우리 나라의 전통신앙과 관계가 깊다. 칠성각은 단순히 북두칠성만을 모시는 것이 아니라 불교적으로 윤색된 삼존불과 함께 7여래, 도교의 칠성신이 함께 모셔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독성각(獨聖閣) 나반존자(那畔尊者)를 모신 전각으로 이 성인은 지혜가 밝..
-
사찰의 건축물 4조계종/불교 용어 2018. 10. 18. 08:30
* 영산전(靈山殿)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과 그의 일대기인 팔상탱화(八相幀畫)를 봉안한 법당으로 영산이란 석가의 설법회상(說法會相)인 영산회상(靈山會相)의 준말이다. 팔상(捌相)이란 석가의 생애를 주요 사건에 따라 8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한 일대기를 말한다. 팔상전(捌相殿)이라고도 한다. 1. 도솔내의상(兜率來儀相) - 도솔천에서 인간세계로 내려오는 모습2. 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 - 룸비니공원에서 부처님이 탄생하는 모습3.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 - 동서남북의 4문을 둘러보고 출가를 결심하는 모습4.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 성문을 넘어 출가하는 모습5. 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 - 설산에서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고행하는 모습6. 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 - 보리수(菩提樹 아래에서 악마의 항복을 받는 모습..
-
사찰의 건축물 3조계종/불교 용어 2018. 10. 11. 08:30
* 법당(法堂) 법을 설하는 집으로 불교 신앙의 대상이 되는 불상이나 보살상 등을 모시는 전각이다. 이러한 법당은 사찰의 중심 건물인 본전을 지칭하기도 하고, 부처나 보살을 모신 불전과 보살전 등 예배 대상이 되는 모든 전각을 포괄한다. * 대웅전(大雄殿) 사찰의 가장 중심부에 배치되며, 위계상 가장 높은 건물이다. 대웅전은 사찰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화려하게 만들어 사원의 격을 돋보이게 한다. 이 법당에는 불교의 교주인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을 모셔놓았다, 격을 높여 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고도 하며, 보통 좌우 협시보살(脇侍菩薩)은 문수(文數)와 보현보살(普賢菩薩), 아미타불(阿彌陀佛)과 약사여래불(藥師如來佛)이 배치되기도 한다. * 극락전(極樂殿) 극락정토를 상징하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모셔놓은 법..
-
사찰의 건축물 2조계종/불교 용어 2018. 10. 4. 08:30
* 종루(鐘樓) 보통 루(樓)형식의 2층이며, 아침과 저녁 예불시에 사용하는 사물(四物)이 걸려져 있다. 종각은 해탈문으로 들어오는 구도자를 환영하고, 해탈의 경지에 이르렀음을 알린다. 음악을 연주하여 더 많은 중생을 구제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목어(木魚) - 나무를 물고기 모양으로 하여 배부분을 파내고 안쪽의 양벽을 나무채로 두들겨 소리를 내는 법구이다. 소리로써 물속에 사는 중생을 구제한다는 의미이다. 물고기의 모습에서 점차 머리 부분만 용의 모습으로 하여 용두어신(龍頭魚身)의 모습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한편 목어는 물고기가 눈을 깜빡이지 않는 것처럼 수행에 힘쓰라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범종(梵鐘) - 범종의 소리는 부처의 음성이며 언어이다. 모든 중생들을 범종의 소리로 구제한다는 의미..
-
사찰의 건축물 1조계종/불교 용어 2018. 9. 27. 08:30
* 일주문 (一柱門) 사찰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볼 수 있는 건물로 2개의 기둥을 나란히 세워 지붕부를 올려 문을 만들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문은 속세(俗世)와 불계(佛界)를 구분 짓는 경계 역할을 하며 문을 통과하는 순간 부처님의 세계로 들어가 일심(一心)의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의미가 있다. * 천왕문 (天王門) 불법을 수호하는 사천왕상(四天王像)을 모셔놓은 전각으로 수행의 중간단계를 의미하며 속세의 잡귀가 불세계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다. 천왕문은 수행의 중간단계를 의미하는 불가의 세계인 수미산 중턱에 있는 사천왕의 궁궐을 형상화하여 세워졌다. 동쪽의 지국천왕(持國天王), 서쪽의 광목천왕(廣目天王), 남쪽의 증장천왕(增長天王), 북쪽의 다문천왕(多聞天王)을 말한다. * 금강문(金剛門) 사..
-
가람(伽藍)조계종/불교 용어 2018. 9. 20. 08:30
가람(伽藍) 가람이란 범어의 Sangharama를 말하는 것으로 이를 번역하여 승가람마 혹은 이를 약하여 가람이라 한다. 가람은 본래 많은 승려들이 한 장소에서 불도를 수행하는 장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중원(衆園)이라 번역하였다. 후세에 이르러서는 건조물로서 전당(殿堂)을 가리키는 명칭이 되었다. 또한 사찰의 통칭이 되었고 사원 자체를 가리키게 되었다. 가람은 사부대중(四部大衆)이 모여 사는 곳을 의미한다. 즉 많은 승려와 보살들이 불도를 수행하는 장소로서의 공간적 의미와 더불어 건축물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래서 가람배치는 사찰의 건물이 입지 하는 배치와 각각의 형식을 말한다. 한국의 가람배치는 시대별로 차이를 보이면서 발전하였는데 일반적으로 고대에는 탑과 금당 등 중요한 거물들이 평지에 정형화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