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
만덕산 백련사조계종/그외 말사 2016. 7. 3. 08:30
만덕산 백련사(萬德山 白蓮寺) 주 소 :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 246 홈 피 : http://www.baekryunsa.net/ 신라 말기인 문성왕(839년)때 무염국사(無染國師)가 창건하여 만덕사(萬德寺)라 불렀으나 고려 희종(1211년)때 원묘국사(圓妙國師) 요세(了世)스님이 중창하여 백련결사(白蓮結社)로 이름을 크게 날려 백련사(白蓮寺)로 불리게 되었다. 육화당(六和堂) 만경루(萬景樓) 대웅보전(大雄寶殿) 삼성각(三聖閣) 명부전(冥府殿) 범종각(梵鐘閣) 천불전(千佛殿) 응진당(應眞堂)은 나한전(羅漢殿)이라고도 한다. 만덕산 백련사 사적비(萬德山 白蓮寺 事蹟碑) 원구형 부도(圓球形 浮屠) 천연기념물 151호 동백숲 (160406)
-
정족산 전등사조계종/그외 말사 2016. 6. 12. 08:30
정족산 전등사(鼎足山 傳燈寺) 주 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홈 피 : http://www.jeondeungsa.org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본사인 조계사(曹溪寺)의 말사로 고구려 소수림왕11년(381년) 진나라에서 건너온 아도(阿道)가 창건하여 진종사(眞宗寺)라 하였으며 고려 충렬왕 8년(1282년) 왕비인 정화궁주(貞和宮主)가 진종사에 경전과 옥등을 시주한 것을 계기로 ‘전등사’라 사찰 명칭을 바꾸었다. * 남문(南門)의 문루(門樓)를 ‘종해루(宗海樓)’라 부른다. * 삼랑성(三郞城)은 단군의 세 아들이 쌓았다는 전설이 있으며 정족산에 있어 일명 정족산성(鼎足山城)이라고도 하는 성 길이는 2,944m에 달하는 자연석으로 축조된 성으로 사적 제130호이다. * 부도전(浮屠殿..
-
보련산 보탑사조계종/그외 말사 2016. 5. 14. 08:30
보련산 보탑사(寶蓮山 寶塔寺) 주 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 483번지 비구니스님인 지광(志光), 묘순(妙洵), 능현(能現)스님의 발원으로 고려시대 큰 절터로 전해지는 연곡리(蓮谷里)에 1988년 절터를 마련하여 2003년 불사를 마쳤다. 천왕문(天王門) 법고각(法鼓閣)에는 법고(法鼓), 목어(木魚), 운판(雲板)이 있다. 범종각(梵鐘閣) 3층목탑은 높이 42.73m로 못을 사용하지 않은 전통방식으로 1996년 창건하였다. 1층 금당(金堂)은 부처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모신 심주(心柱)를 중심으로 약사여래불(藥師如來佛 - 東), 아미타여래불(阿彌陀如來佛 - 西),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 南),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 北)등 사방불(四方佛)을 모셨으며 2층 법보전(法寶殿)은 윤장대(輪藏臺)..
-
수도산 봉은사조계종/본사+33관음성지 2016. 5. 8. 08:30
수도산 봉은사(修道山 奉恩寺) * 33관음성지 제32호 주 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73홈 피 : http://www.bongeunsa.org/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본사 조계사(曹溪寺)의 말사로 신라시대 연회국사(緣會國師)가 원성왕10년(794년) 창건하여 견성사(見性寺)라고 하였으며 조선시대 연산군4년(1498년) 정현왕후(貞顯王后)가 선릉(宣陵)을 위하여 견성사를 중창하며 봉은사라 개칭하였다. * 허응당 보우대사 동상(虛應堂 普雨大師 銅像)* 진여문(眞如門)선종(禪宗)불교의 대표적인 사찰이다.* 사천왕(四天王)은 서울시 유형문화제 제160호이다. * 부도(浮屠)/탑비(塔碑)/공덕비(功德碑)* 법왕루(法王樓)는 사시예불을 올리는 장소로 대법회와 기도, 수행 등이 이뤄지고 있다. ..
-
덕숭산 수덕사조계종/본사+33관음성지 2016. 3. 27. 08:30
덕숭산 수덕사(德崇山 修德寺) *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본사, 33관음성지 제4호 주 소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20홈 피 : http://www.sudeoksa.com/ 수덕사는 덕숭산(德崇山)에 있는 절로 백제 위덕왕 재위시에 고승 지명(智命)이 처음 세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선문(禪門) 일주문(一柱門)원담(圓潭)스님 부도탑(浮屠塔)금강문(金剛門) 사천왕문(四天王門) 포대화상(布袋和尙)코끼리 석등(石燈) 범종각(梵鐘閣) 국보 49호 대웅전(大雄殿) ☞ 관음전(觀音殿) 명부전(冥府殿) 백의관세음보살상(白衣觀世音菩薩像)사면석불(四面石佛) 소림초당(小林草堂)관음보살입상(觀音菩薩立像)만공탑(滿空塔) 동양화가 이응로 사적지 수덕여관암각화(岩刻畵) (151029,..
-
봉미산 신륵사조계종/본사+33관음성지 2016. 3. 7. 08:00
봉미산 신륵사(鳳尾山 神勒寺) * 33관음성지 제31호 주 소 :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282홈 피 : http://www.silleuksa.org/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龍珠寺)의 말사 일주문(一柱門) 강월헌(江月軒)은 고려 말 고승 혜근(惠勤)의 다비(茶毘) 장소로 생전 그의 당호(堂號)인 강월헌이라 이름 붙였으며 1972년 홍수로 떠내려가 1974년 다시 지었다.삼층석탑(三層石塔)은 고려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화강암을 깍아 만든 3층탑으로, 현재 3층 탑신석은 일부가 빠져 없어진 상태이며 탑의 맨 꼭대기를 장식하는 상륜부도 모두 없어진 상태이다. 다층전탑(多層塼塔)은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고려시대의 유일한 전탑(높이 9.4m)으로 보물 226호이다.대장각기비(大藏閣..
-
금오산 향일암조계종/본사+33관음성지 2016. 1. 31. 09:30
금오산 향일암(金鰲山 向日庵) * 33관음성지 제12호 주 소 :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 산7홈 피 : http://www.hyangiram.org/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본사 화엄사(華嚴寺) 의 말사로 '해를 향한 암자'라는 뜻으로 손꼽히는 해돋이 명소이다. 양양 낙산사(洛山寺), 금산 보리암(菩提庵), 낙가산 보문사(普門寺)와 함께 4대 해수관음성지(海水觀音聖地)이다. 새벽 일찍 도착하니 매표소는 아직... 원효스님 좌선대 일출 (日出) 해수관음상관음전 관세음보살하산길 범종각원통보전 천수관음전 삼성각 하산길 일주문 일출을 보고 천천히 금오산 향일암을 둘러 보며 내려오니 8시20분경이네요. 아직 매표소는 ...갓김치 판매점도 아직...여기는 천하제일 일출명소111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