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
-
국보 제 51호 강릉 임영관 삼문국 보 2017. 9. 17. 08:30
국보 제 51호 강릉 임영관 삼문 (江陵 臨瀛館 三門)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용강동 58-1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고려시대에 지은 강릉 객사의 정문으로, 현재 객사 건물은 없어지고 이 문만 남아 있다. 객사란 고려와 조선시대 때 각 고을에 두었던 지방관아의 하나로 왕을 상징하는 나무패를 모셔두고 초하루와 보름에 궁궐을 향해 절을 하는 망궐례를 행하였으며, 왕이 파견한 중앙관리나 사신들이 묵기도 하였다. 이 객사는 고려 태조 19년(936)에 총 83칸의 건물을 짓고 임영관이라 하였는데, 문루에 걸려 있는 ‘임영관’이란 현판은 공민왕이 직접 쓴 것이라고 한다. 몇 차례의 보수가 있었고, 일제시대에는 학교 건물로 이용하기도 하였다. 학교가 헐린 뒤 1967년에 강릉 경찰서가 들어서게 되고 ..
-
강릉 대도호부 관아믿 음/성지순례(167곳) 2016. 8. 17. 08:30
강릉 대도호부 관아(江陵 大都護府 官衙) 주 소 : 강원도 강릉시 용강동 58-1 관 할 : 임당동 성당 칠사당(七事堂)은 대도호 부윤(大都護府尹)이 주재하던 조선시대 관공서로 호적(戶籍), 농사(農事), 병무(兵務), 교육(敎育), 세금(稅金), 재판(裁判), 풍속(風俗)에 관한 일곱 가지 정사(政社)를 베풀던 곳으로 강원도 유형 문화재 제7호이다. 이곳에서 병인박해 때 심문도 없이 목이 잘리는 참수형으로 많은 교우들이 순교하였다. 의운루(倚雲樓) 동헌(東軒) 임영관 삼문(臨瀛館 三門 - 객사문(客舍門))은 고려 말에 지어진 것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으로 국보 제51호이다. 중대청(中大廳) 서헌(西軒) 전대청(殿大廳) 고려시대 공민왕의 친필로 가로 3m, 세로 1.2m 크기의 임영관(臨瀛館)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