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군
-
일만 위 순교자 현양동산 - 2믿 음/성지순례(167곳) 2017. 9. 5. 08:30
일만 위 순교자 현양 동산 - 2 성모칠고 1. 시므온의 예고 2. 이집트로의 피난 3. 예수를 성전에서 잃음 4. 예수 십자가를 지심 5. 예수 십자가에서 죽음 6. 예수를 십자가에서 내림 7. 예수 무덤에 묻힘 이전(以前) 주님 위로의 동산부터 순교자의 십자가 길을 거쳐 무명관까지 폐쇄 예정. 순교자의 십자가 길 ☞ (170720) * 일만 위 순교자 현양 동산 - 3 ➽ - 3 우리 교회에는 적게는 만 명, 많게는 삼만 명의 순교자가 계시지만 우리가 이름 정도라도 알고 있는 순교자는 약 1,000여 명에 불과하다. 안타깝게도 우리는 수 많은 신앙 선조들의 이름조차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한 것이다. 이에 인천교구에서는 2002년 강화도에 ‘한국 일만 위 순교자 현양동산’ 을 조성하여 한국의 순교자들, ..
-
진무영 순교 성지 - 2믿 음/성지순례(167곳) 2017. 8. 29. 08:30
진무영 순교 성지 - 2 ➽ - 1 강화 성당 성체조배실 (170720) 강화성당 위쪽으로 조금만 걸어 올라가면 고려가 몽골의 침략에 항전하던 39년간의 궁궐 터가있다. 1232년 고려 고종 때 강화 천도와 함께 세워진 궁궐 터는 1964년 사적 제133호 ‘고려궁지'로 지정보존되고 있다. 현재 이곳에는 조선 시대에 건립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호인 강화 유수부 동헌과 유형 문화재 제26호인 이방청, 외규장각, 강화 동종 등만 남아있다. 고려궁지 밖에는조선 시대 해상 경비를 맡았던 군영이자, 교우들을 끌어내다 참수했던 처형지인 진무영(鎭撫營)이 있었던 것 으로 알려져 있고, 또 일부 주민 들이 그 위치를 증언하기도 하지만 아직 정확한 고증에 의해 확인 되지는 않고 있다. 다만 연구 결과 강화성당 근처로..
-
갑곶 순교 성지 - 2믿 음/성지순례(167곳) 2017. 8. 22. 08:30
갑곶 순교 성지 - 2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유해 십자가의 길 ☞ (170720) * 갑곶 순교 성지 - 3 ➽ - 3 강화는 수도 방어의 요충지로서 고려 시대부터 외세와 격렬하게 충돌해 온 역사의 현장이다. 이런 강화 지역이 교회와 특별한 관계를 갖기 시작한것은 1866년 병인양요와 이에 이은 병인박해 때이다. 1866년 병인양요 때 조선 정부가 프랑스인 성직자 9명을 처형한 책임을 물어 강화도를 점령하고자 했던 프랑스 함대가 바로 이곳 갑곶 돈대로 상륙, 강화성과 문수산성을 점령했다. 결국 프랑스 군은 후퇴했으나 이로인해 강화지방에는한국 천주교회의 가장 극심했던 박해의 하나로 기억되는 병인박해가 시작되게 된다. 갑곶 돈대에서 보이는 바다 건너편의 백사장에서 많은 신자들이 이슬로사라졌다. 이 박해로..
-
정족산 전등사조계종/그외 말사 2016. 6. 12. 08:30
정족산 전등사(鼎足山 傳燈寺) 주 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홈 피 : http://www.jeondeungsa.org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본사인 조계사(曹溪寺)의 말사로 고구려 소수림왕11년(381년) 진나라에서 건너온 아도(阿道)가 창건하여 진종사(眞宗寺)라 하였으며 고려 충렬왕 8년(1282년) 왕비인 정화궁주(貞和宮主)가 진종사에 경전과 옥등을 시주한 것을 계기로 ‘전등사’라 사찰 명칭을 바꾸었다. * 남문(南門)의 문루(門樓)를 ‘종해루(宗海樓)’라 부른다. * 삼랑성(三郞城)은 단군의 세 아들이 쌓았다는 전설이 있으며 정족산에 있어 일명 정족산성(鼎足山城)이라고도 하는 성 길이는 2,944m에 달하는 자연석으로 축조된 성으로 사적 제130호이다. * 부도전(浮屠殿..
-
강화 (대한성공회 강화성당)여 행 2016. 6. 5. 08:30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주 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422 1900년 한국 성공회 초대 주교인 존 코르페(C. John Corfe - 한국명 고요한)가 강화에 축성한 한국 최초의 한옥 성당으로 ‘성베드로와 바울로성당’이라고도 한다. 2001년 사적 제424호로 지정되었다. 방문 당시 보수 공사중... * 강화도 행렬도는 왕위를 계승하게 될 강화도령(조선 25대왕 철종)을 모시러 오는 왕실의 행렬을 그린 것이다. 이 기록화는 북한에 소장 되어있다 알려지며 현재 강화 역사관에 모사한 병풍이 전시 되어있다. 사제관 (160323)
-
강화 (용흥궁)여 행 2016. 5. 29. 08:30
강화 용흥궁(龍興宮) 주 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441 강화도령으로 불렸던 조선 25대 왕 철종(哲宗)이 거처하였던 잠저(潛邸)로 철종4년(1853년) 강화 유수 정기세가 지금과 같은 집을 짓고 용흥궁(龍興宮)이라 하였다. 그뒤 광무7년(1903년)에 청안군 이재순이 중건하였으며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내전 l동, 외전 1동, 별전 1동 등이다. 1995년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되었다. 잠저(潛邸)란 조선시대 왕의 장자인 왕세자와 같이 정상적인 법통이 아닌 다른 방법이나 사정으로 인해 임금으로 추대된 사람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던 집을 말한다. (160323)
-
강화 (고려궁지)여 행 2016. 5. 22. 08:30
강화 고려궁지(高麗宮址) 주 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743-1 몽골의 침입에 항쟁하기위해 고종19년(1232년) 개성에서 강화로 도읍을 옮겨 궁궐을 건립하여 원종11년(1270년) 몽골과 화친하여 환도할 때까지 39년간 사용하였다. 환도할 때 몽골의 요구로 궁궐, 성곽등을 모두 파괴하였다. 조선시대에는 행궁외 유수부동헌, 이방청, 외규장각, 장년전, 만년전등을 건립하였으나 병자호란과 병인양요 때 대부분 소실되었다. 1964년 사적 제133호로 지정 되었다. * 강화 유수부 동헌(江華 留守府 東軒)은 조선시대 강화 행정의 책임자인 유수가 업무를 보던 현재의 군청과 같은 곳으로 여러차례에 걸친 보수로 원형이 남아 있지 않다. 명위헌(明威軒)이라는 현판은 영조 때 명필 윤순(尹淳)의 필적이다...
-
일만 위 순교자 현양 동산 - 순교자의 십자가 길믿 음/성지순례(167곳) 2016. 5. 5. 08:30
일만 위 순교자 현양 동산 - 순교자의 십자가 길 1. 한국 천주교회의 창립 2. 한국교회의 첫 번째 시련 : 명례방 사건, 진산 사건 3. 주문모 신부의 입국과 선교활동 4. 정약종과 명도회 5. 첫 여성회장 강완숙과 여교우들의 활동 6. 신유교난(1801년, 辛酉敎難) 7. 황사영 백서(帛書) 사건 8. 조선 대목구 설정(1831년)과 파리외방선교사들의 활동 9. 기해교난(1839년, 己亥敎難) 10. 병오교난(1846년, 丙午敎難) 11. '피의 순교자' 김대건 신부, '땀의 순교자' 최양업 신부 12. 병인교난(1866년, 丙寅敎難) 13. 신앙의 자유 획득과 제물포 본당 설립 14. 한국 천주교회의 성장 15. 한국 천주교회의 영광 (16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