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
-
국보 제 296호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국 보 2018. 2. 28. 08:30
국보 제 296호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七長寺 五佛會 掛佛幀)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764, 칠장사 지정일 : 1997.09.22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림이다. 칠장사 괘불은 길이 6.56m, 폭 4.04m의 크기로, 구름을 이용하여 상·중·하 3단으로 구분되었다. 맨 윗부분은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석가불과 노사나불이 좌우에 모셔진 삼신불을 묘사하고 있고, 중간은 약사불과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여러 보살들이 있어 삼세불을 표현하였으며, 맨 아래에는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그려져 수미산 정상의 도솔천궁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3단 배치는 예배자들에게 삼신불과 삼세불의 세계를 통해 진리를 깨우치게 하고, 관음보살과 지장보살..
-
미리내 성지 - 3믿 음/성지순례(167곳) 2017. 5. 16. 08:30
미리내 성지 - 3 * 성 요셉 성당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성해 (하악골) 십자가의 길 ☞ * 79위 시복 기념 경당 (170426) * 미리내 성지 - 4 ➽ - 4 미리내 성지는 신유박해(1801년), 기해박해(1839년) 때 천주교 신자들이 숨어들어 옹기를 굽고 화전을 일구어 살았는데, 밤이면 붙빛이 은하수처럼 보여 미리내 ('은하수’의 우리말)라고 불리게 되었다. 병오박해(1846년) 때 순교하신 한국 최초의 사제 김대건 신부의 유해가 미리내에 안장되면서 교회 안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성지에는 김대건 신부의 묘소와 그의 어머니 고 우르술라 그리고 조선교구 제13대 교구장이자 김 신부에게 사제품을 준 페레올 주교의 묘가 있으며 또한 김대건 신부의 시신을 새남터에서부터 이곳으로 옮겨와 ..
-
안성 성당믿 음/그외 성지,성당 등 2016. 11. 26. 08:30
안성 성당 주 소 : 경기도 안성시 구포동 80-1 주보성인 : 착한 의견의 모친 1900년 충청도의 공세리 본당으로부터 분리 설립되어, 1922년 한식(내부)과 로마네스크 양식(외부)을 절충한 형태의 성당 봉헌식을 가졌으며 1955년 고딕식 벽돌조의 성당 종탑부를 증축하였다. 1970년 구포동 본당으로 개명하였으나 2000년 설립 100주년 기념사업을 전개하며 안성 본당으로 다시 변경하였다. 경기도 기념물 제82호이다. 로고스탑은 본당 설립 100주년을 기념해 2000년 설치하였다. 초대 주임 공베르 신부는 6.25 동란 때 체포, 납북되어 1950년 11월 12일 동사하였다. 안성문화원은 2012년 공베르 신부를 ‘안성을 빛낸 인물’로 선정하고 흉상 제막식을 가졌다. 십자가의 길 ☞ 100주년 기념관..
-
죽산 옥사 터믿 음/그외 성지,성당 등 2016. 10. 19. 09:00
죽산 옥사(獄舍) 터 주 소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348 (죽산면사무소) 죽산 도호부 옥사(獄舍) 터는 수많은 순교자가 문초를 당하고, 목숨을 잃었던 곳으로 2016년 9월 28일 수원교구장 이용훈(마티아) 주교의 주례로 성지 선포식을 거행하였다. 절골(충북 진천군 백곡면) 교우촌에서 신앙생활을 하다가 1868년 포졸들에게 붙잡혀 죽산 관아로 끌려가 고초를 겪다 9월 28일 죽산에서 함께 순교한 복자 박경진(프란치스코, 1835∼1868), 오 마르가리타(?∼1868) 부부와 동료 순교자가 예수님과 함께 있는 모습의 성상은 성 미술가 최영철(바오로)씨가 제작했다. (161011)
-
죽산 순교 성지믿 음/성지순례(167곳) 2016. 7. 1. 08:30
죽산 순교 성지 주 소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죽림리 703-6 홈 피 : http://org.catholic.or.kr/juksan 천주교 4대 박해중 하나인 병인박해(1866년) 때 죽산 관아에서 참혹한 고문과 심문을 받고 끌려가 처형된 곳이 죽산 순교성지이다. 원래 '이진터'란 지명이었으나, 천주교 신자들은 '거기로 끌려가면 죽은 사람이니 잊으라' 하여 '잊은터'란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25명만 "병인박해 치명일기"와 "증언록"에 그 행적이 남아있을 뿐 나머지 100여명의 순교자들은 이름조차 알 길이 없다. 병인박해 여파로 1868년 이곳에서 순교한 박경진 프란치스코와 오 마르가리타 부부는 2014년 8월 시복되었다. 무명 순교자 묘를 중심으로 양쪽에 병인박해 순교자 묘 24기와 순교자 현양탑..
-
미리내 성지 - 2믿 음/성지순례(167곳) 2016. 5. 7. 08:30
미리내 성지 - 2 묵주기도의 길 ☞ 십자가의 길 ☞ * 79위 시복 기념 경당은 가경자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시복에 맞춰 1928년 9월 봉헌되었다. 기념경당 내에는 성 김대건 신부의 발 뼈 유해 일부와 성인의 시신이 담겨져 있던 목관 일부가 안치되어 있다. 성인의 다른 유해는 현재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성당 안에 안치되어 있다. 국사범으로 형을 받은 죄수는 통상 사흘 뒤에 연고자가 찾아 가는 것이 관례이나 김대건 신부의 경우 장례마저 막아 참수된 자리에 묻고 파수를 두어 지켰다. 하지만 이민식 빈첸시오(1829-1921년)는 파수의 눈을 피해 치명한 지 40일이 지난 후 김대건 신부의 시신을 빼내는 데 성공했다. 그는 시신을 등에 지고 험한 산길을 틈타 1백 50리 길을 밤에만 걸어 일주일이 되는 ..
-
미리내 성지믿 음/성지순례(167곳) 2016. 5. 6. 08:30
미리내 성지 주 소 :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미산리 141 홈 피 : http://www.mirinai.or.kr/ 병오박해(1846년) 때 순교한 성 김대건 신부의 시신이 안장되었던 성지로 잘 알려져 있는 미리내는 신유박해(1801년), 기해박해(1839년) 때 천주교 신자들이 숨어들어 옹기를 굽고 화전을 일구어 살았는데, 밤이면 불빛이 은하수처럼 보여 미리내라고 불리게 되었다. * 한국 순교자 성인복자상 부조 작품(23m x 5.5m, 최영철 바오로 작)은 2015년 4월에 흰 대리석으로 제작, 설치하고 축복미사를 봉헌했다. * 성 요셉 성당 주보성인 : 성 요셉 미리내는 1883년 공소로 설립되어 1896년 5월 갓등이(현 왕림) 본당에서 분리되어 본당으로 승격되었다. 1907년 초 자연석으로 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