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
-
소수서원세계유산/한국의 서원 2019. 5. 12. 08:30
소수서원 (紹修書院) 주 소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40홈 피 : http://www.yeongju.go.kr/open_content/sosuseowon/index.do 중종 37년(1542년)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이 고려시대 유학자인 회헌(晦軒) 안향(安珦)의 사묘(祠廟)를 세우고 중종 38년(1543년)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설립한 것이 이 서원의 시초이다. 명종 5년(1550년) 이황(李滉)이 풍기군수로 부임해 와서 조정에 상주하여 소수서원이라는 사액(賜額)을 받은 최초의 서원이자 사액서원(賜額書院 - 조선시대에 국왕으로부터 서원명현판과 노비·서적 등을 받은 서원)이다. 고종 8년(1871년)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철폐를 면한 47서원 가운데 하나로 1963년 1월..
-
홍유한 고택지 - 2믿 음/성지순례(167곳) 2019. 5. 7. 08:30
홍유한 고택지(휴천동 성당) - 2 ➽ - 1 (190416) 한국 천주교회가 창립된 것이 1784년, 이보다 30여 년 전에 이미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여 심신을 연마한 이가 바로 농은 홍유한이다. 비록 그가 물로 세례를 받지는 않았다 할지라도 천주교를 단순히 신학문으로서가 아니라 천지만물의 이치를 밝히는 종교적 요소를 가지고 대했다는 점에서 스 스로 신앙생활을 시작한 첫 인물로 꼽힌다. 경북 영주군 단산면 구구리(옛 지명:구고리)는 바로그의 자취가 남아 있는 곳이다. 그는 실학자 성호 이익의 문하에서 천주학을 처음 접한 뒤 바로 이곳에서 1775년부터 10년 간 학문을 통해 깨달은 신앙의 진리를 실천했다. 그는 유교와 불교에서 발견하지 못한 천주교의 진리를 깨달은 후부터 스스로 신앙생활을 시작해 "칠극..
-
국보 제 111호 안향 초상국 보 2019. 5. 4. 08:30
국보 제 111호 안향 초상 (安珦 肖像)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151-2, 소수박물관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고려 중기 문신인 회헌(晦軒) 안향(1243∼1306) 선생의 초상화로 가로 29㎝, 세로 37㎝의 반신상이다. 안향은 고려 원종 1년(1260)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하였으며, 여러 차례에 걸쳐 원나라에 다녀오면서 주자학을 우리나라에 보급한 인물로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라고 할 수 있다. 그림의 화면은 상하로 2등분되어 위에는 글이 쓰여 있고 아래에는 선생의 인물상이 그려져 있다. 머리에 평정건(平頂巾)을 쓰고 왼쪽을 바라보며 붉은 선으로 얼굴의 윤곽을 나타내었다. 옷주름은 선을 이용하여 명암없이 간략하게 처리하였다. 시선의 방향과 어깨선에서 선생의 강..
-
부석사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19. 2. 28. 08:30
태백산 부석사(太白山 浮石寺) ☞ 주 소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홈 피 : http://www.pusoksa.org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신라 문무왕(文武王) 16년(676년)에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왕명으로 창건한 화엄종(華嚴宗)의 수사찰(首寺刹)이다. 고려 현종 7년(1016년)에 원융국사(圓融國師)가 무량수전(無量壽殿)을 중창하였고 우왕 2년(1376년)에 원응국사(圓應國師)가 다시 중수하고, 이듬해 조사당(祖師堂)을 재건하였다. 1916년에는 무량수전과 조사당을 해체 수리하였다. 두륜산 대흥사, 태화산 마곡사, 속리산 법주사, 천등산 봉정사, 조계산 선암사, 영축산 통도사, 태백산 부석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山地僧院)"..
-
국보 제 46호 부석사 조사당 벽화국 보 2019. 1. 12. 08:30
국보 제 46호 부석사 조사당 벽화 (浮石寺 祖師堂 壁畵)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지정일 : 2011년 11월 28일 이 벽화는 부석사를 창건하고 우리나라에서 화엄종을 처음 시작한 의상대사를 모시고 있는 부석사조사당(국보 제19호) 안쪽 벽면에 사천왕과 제석천, 범천을 6폭으로 나누어 그린 그림이다. 현재는 일제강점기에 해체 분리된 벽화를 별도로 보관하고 있다. 흙벽 위에 녹색으로 바탕을 칠하고 붉은색·백색·금색 등으로 채색하였으며, 각각의 크기는 길이 205㎝, 폭 75㎝ 가량이다. 양쪽의 두 천부상은 우아한 귀족풍으로 양감이 풍만하며, 가운데 사천왕은 악귀를 밟고 서서 무섭게 노려 보는 건장한 모습이다. 훼손된 부분이 많고 후대에 덧칠하여 원래의 모습이 많이 사라졌지..
-
국보 제 45호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국 보 2019. 1. 5. 08:30
국보 제 45호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榮州 浮石寺 塑造如來坐像)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지정일 : 2011년 11월 28일 부석사 무량수전에 모시고 있는 소조불상으로 높이 2.78m이다. 소조불상이란 나무로 골격을 만들고 진흙을 붙여가면서 만드는 것인데, 이 불상은 우리나라 소조불상 가운데 가장 크고 오래된 작품으로 가치가 매우 크다. 얼굴은 풍만한 편이며, 두꺼운 입술과 날카로운 코 등에서 근엄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고 있는데, 평행한 옷주름을 촘촘하게 표현하고 있다. 무릎 아래까지 이어지고 있는 이런 형태의 옷주름은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63호)에서도 보이는 것으로 이 작품이 고려 초기 불상들과 같..
-
태백산 부석사 - 2조계종/그외 말사 2019. 1. 2. 08:30
태백산 부석사(太白山 浮石寺) - 2 조사당(祖師堂) - 국보 제 19호 ☞ 선비화취현암(醉玄庵)단하각(丹霞閣) 자인당(慈忍堂)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 보물 제 220-1호석조석가여래좌상(石造釋迦如來坐像) - 보물 제 1636호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 보물 제 220-2호응진전(應眞殿) 지장전(地藏殿) 박물관(博物館) 관음전(觀音殿) 삼성각(三聖閣) 화엄선원(華嚴禪院) 부석(浮石)신라 문무왕 1년(661년) 의상 대사(義湘大師)가 화엄학을 공부하기 위해 당나라에 갔을 때 의상 대사를 연모한 선묘(善妙)라는 여인이 있었다. 의상 대사는 중국 장안에 있는 종남산 지상사의 지엄삼장에게서 10년간 화엄의 도리를 배우고 깨달음을 얻은 후 귀국길에 올랐다. 뒤늦게 소식을 들은 선묘가 부두로 달려갔을..
-
태백산 부석사 - 1조계종/그외 말사 2019. 1. 1. 08:30
태백산 부석사(太白山 浮石寺) - 1 주 소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홈 피 : http://www.pusoksa.org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신라 문무왕(文武王) 16년(676년)에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왕명으로 창건한 화엄종(華嚴宗)의 수사찰(首寺刹)이다.고려 현종 7년(1016년)에 원융국사(圓融國師)가 무량수전(無量壽殿)을 중창하였고 우왕 2년(1376년)에 원응국사(圓應國師)가 다시 중수하고, 이듬해 조사당(祖師堂)을 재건하였다. 1916년에는 무량수전과 조사당을 해체 수리하였다. 태백산 부석사, 속리산 법주사, 태화산 마곡사, 영축산 통도사, 천등산 봉정사, 조계산 선암사, 두륜산 대흥사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