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
-
국립 공주박물관여 행 2021. 10. 10. 08:30
국립 공주박물관 주 소 :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360 홈 피 : https://gongju.museum.go.kr/gongju/ 웅진 백제 문화를 중심으로 충청남도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 전시하기 위해 1946년 4월 1일 개관하였다. 국보 제 154호 무령왕 금제관식 (武寧王 金製冠飾) ☞ 국보 제 155호 무령왕비 금제관식 (武寧王妃 金製冠飾) ☞ 국보 제 156호 무령왕 금귀걸이 (武寧王 金製耳飾) ☞ 국보 제 159호 무령왕 금제 뒤꽂이 (武寧王 金製釵) ☞ 국보 제 157호 무령왕비 금귀걸이 (武寧王妃 金製耳飾) ☞ 국보 제 158호 무령왕비 금목걸이 (武寧王妃 金製頸飾) - 9마디 ☞ 국보 제 158호 무령왕비 금목걸이 (武寧王妃 金製頸飾) - 7마디 ☞ 국보 제 160호 무령왕비 은팔찌 ..
-
-
삽티 성지믿 음/성지순례(167곳) 2020. 5. 27. 08:30
삽티 성지 주 소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상천리 산 90-14 홈 피 : https://southnaepo.modoo.at/ 삽티는 내포의 사도 이존창이 홍산으로 피신하여 선교 활동을 한 시절부터 교우들이 숨어 살기 시작한 곳이다. 1850년대에 충북 연풍에서 배척 받은 황석두 루카 성인은 가족들과 삽티로 이주하였다. 황석두의 양자 황천일 요한과 조카 황기원 안드레아도 여기에 살았다. 황석두 성인은 인근산막골에서 선교사 페롱(Feron) 신부를 보필하면서, 하부 내포의 산골 교우촌들을 순회하여 돌보았다. 병인박해로 1866년 3월 30일에 갈매못에서 성 안토니오 다블뤼 주교와 함께 순교한 황석두 성인의 시신을 황천일과 황기원이 수습하여 그해 5월에 여기 삽티에 안장하였다. 이 때문에 황천일과황기원이 ..
-
도앙골 성지믿 음/성지순례(167곳) 2020. 5. 26. 08:30
도앙골 성지 주 소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금지리 249홈 피 : https://southnaepo.modoo.at/ 도앙골은 부여, 보령, 서천의 3개 시군이 맞닿은 월명산 아래 깊은계곡 안에 있는 마을이다. 이곳은 산길이 맞닿는 계곡의 막다른 지점으로, 하부 내포의 산간 지역에 숨어 살던 신자들이 연통하기 수월하였다. 도앙골 교우촌은 최양업 토마스 신부가 조선으로 귀국한 이후 첫 번째 편지를쓴곳이다. 최양업 신부는 천신만고 끝에 1849년 말 귀국하여 전국 곳곳의 신자들을 찾아 열 달 동안 고된 순방을 마치고, 이곳의 신자 집에서 귀국 뒤 활동 보고서로서 첫 편지를 썼다. 편지에서 도앙골 같은 산골에 사는 신자들과 근처 산골에 사는 신자들은 평야 지대의 신자들보다 훨씬 열심히 산다고 설명하..
-
대흥 봉수산 순교 성지믿 음/성지순례(167곳) 2020. 5. 20. 08:30
대흥 봉수산 순교 성지 주 소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5-3 대흥은 1801년 신유박해 때 김정득 베드로 복자가 신앙을 증언하고 순교한 마을이다. 대흥 봉수산 성지와 연고가 있는 순교자는 김정득 복자 외에 황 베드로, 백청여, 원지우 안드레아, 이 루도비코, 이 아우구스티노 등이 있다. 김정득 복자는 예산에서 순교한 김광옥 안드레아 복자와 함께 '의좋은 순교자'로 알려져 있다. 두 순교자는 서로 고향이 달랐으나 공주 무성산에서 함께 신앙생활을 하다가 신유박해 때 체포되었다. 그들은 예산, 홍주, 청주를 거쳐 한양까지 이송되었으며, 여러차례 형벌을 받으면서도 끝까지 신앙을 지켰다. 고향으로 보내어 처형하라는 지시에 따라 1801년 8월 두 순교자는 예산까지 함께 이송되었다. 이후 김정득은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