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
괘방산 등명낙가사조계종/그외 말사 2024. 12. 29. 08:30
괘방산 등명낙가사 (掛榜山 燈明洛伽寺) 주 소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7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로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수다사(水多寺)로 창건하여 신라 말 전쟁으로 불에 탄 것을 고려 초에 중창하고 등명사(燈明寺)로 고쳤다. 조선 중기에 폐허가 되었으나 1956년 경덕(景德)스님이 중창한 뒤 관세음보살이 늘 머무는 곳이라 해서 절 이름을 낙가사(洛伽寺)로 바꾸고, 옛 이름 등명을 앞에 붙여 등명낙가사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일주문(一柱門)부도전(浮屠殿) 세출문(洗出門) 불이문(不二門) 범종루(梵鐘樓) 극락보전(極樂寶殿) 대웅전(大雄殿) 진영각(眞影閣)삼성각(三聖閣) 관일루(觀日樓) 약사전(藥師殿) (241010)
-
두타산 삼화사조계종/그외 말사 2024. 12. 14. 08:30
두타산 삼화사 (頭陀山 三和寺) 주 소 :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 860-10 홈 피 : http://www.samhwasa.or.kr/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로 삼화사의 건립에 대하여 3가지 설이 공존하고 있다. 삼화사사적(三和私史蹟)에 근거한 신라 선덕여왕 12년(643년) 자장율사(慈藏律師)에 의한 창건설, 강원도지(江原道誌)에 근거한 통일신라 흥덕왕 4년(829년) 창건설, 그리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근거한 범일국사(凡日國師) 창건설이 있다. 일주문(一柱門) 천왕문(天王門) 범종각(梵鐘閣)공수실(供需室) 심검당(尋劍堂) 3층석탑(三層石塔) - 보물 제 1277호 육화료(六和寮) 극락전(極樂殿) 삼성각(三聖閣) 적광전(寂光殿) 약사..
-
서지마을 (서지 교우촌)믿 음/그외 성지,성당 등 2024. 12. 11. 08:30
서지마을 (서지 교우촌) 주 소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손곡리 343 서지마을은 최양업 신부의 서한에 등장하는 최양업 신부의 먼 친척인 복자 최해성 요한이 살던 교우촌이다. 최해성은 서지마을에 작은 교우촌을 만들어 이웃들에게 교리를 가르치고 착한 표양으로 모든 이의 귀감이 되었다. 최양업 신부는 극도로 비참한 가난과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변치 않는 인내심을 발휘했고, 이웃들에게 베푸는 삶에 충실했던 순교자 최해성의 이야기를 그의 서신에서 전하고 있다. (출처 : 희망의 순례자) 십자가의 길 ☞ (241008)
-
태백산 보덕사조계종/그외 말사 2024. 12. 8. 08:30
태백산 보덕사 (太白山 報德寺) 주 소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1110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로 신라 신문왕 6년(686년) 의상(義湘)이 창건하고 지덕사(旨德寺)라 하였다. 세조 3년(1457년) 단종이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되어 이곳 영월로 유배되어 와 사찰명을 노릉사(魯陵寺)라 개칭하였으며 영조 2년(1726년) 장릉수호조포사(莊陵守護造泡寺)라는 은전이 베풀어지며 보덕사로 개명하여 장릉(莊陵)의 능사(陵寺)가 되었다.* 조포(造泡)는 두부를 만든다는 의미로, 조포사(造泡寺)는 능묘에서 치러지는 제사에 제물(祭物)을 공급하는 사찰을 의미했다. 조선전기까지만 해도 이들 사찰은 능침사(陵寢寺)나 진전사찰(眞殿寺刹), 원당사찰(願堂寺刹) 등으로 지칭되었는데, ..
-
태백산여 행 2024. 9. 29. 08:30
태백산 (太白山) 주 소 : 강원도 태백시 혈동 높이 1,566m의 강원도 태백시와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에 걸쳐 있는 산. 유일사 탐방지원센터 (08:50)태백사(太白寺) 유일사 쉼터 (09:40) 망경사(望鏡寺) 갈림길 (10:20)주목 군락지 (10:30) 장군단 (將軍壇 10:40) 천제단 (天祭壇 10:50) 단종비각 (端宗碑閣 11:15) 조선 제6대 임금인 단종이 영월에 유배되자 전 한성부윤 추익한은 태백산의 머루 다래를 따서 자주 진상하였다. 어느 날 과일을 진상하러 영월로 가는 꿈을 꾸게 되었는데, 곤룡포 차림으로 백마를 타고 태백산으로 오는 단종을 만나는 꿈이었다. 이를 이상하게 여겨 영월에 도착해보니 단종이 그 날로 세상을 떠났다는 것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