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
홍천 성당 - 2믿 음/성지순례(167곳) 2023. 11. 15. 08:30
홍천 성당 - 2 ➽ - 1 십자가의 길 ☞ (231004) 홍천 성당은 1923년 6월 21일 춘천 고은리 본당 관할 공소였던 송정 공소가 본당으로 승격하여 설립되었다. 홍천 본당의 모태라고 할 수 있는 송정 공소는 1890년 송정리 버덩말에 서병익 바오로 신부(1910년 수품)의 친족이 신자 몇 가족과 함께 정착하며 시작되었다. 1923-1924년 보고서에 따르면 송정 성당은 인제군 관대리와 부평리, 홍천군을 포함하여 8개 공소를 관할하며 신자가 모두 652명이었다. 송정리에 10여 칸의 한옥을 지어 교세를 확장하던 송정 본당은 1936년에 현재 위치 홍천읍 희망리로 이전하였고, 명칭도 홍천 본당으로 변경하였다. 이곳은 홍천군, 인제군 본당들의 모본당(母本堂)이라 할 수 있다. 태평양 전쟁을 일으킨 ..
-
-
설악산 봉정암조계종/그외 말사 2023. 10. 10. 08:30
설악산 봉정암 (雪嶽山 鳳頂庵) 주 소 :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690 홈 피 : http://www.bongjeongam.or.kr/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新興寺)의 말사인 백담사(百潭寺)의 부속암자로 신라 선덕여왕 13년(644년)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중국 청량산에서 구해온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하려고 시창(始創)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후 원효대사(元曉大師)와 고려 때는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조선 때는 환적(幻寂)스님과 설정(雪淨)스님이 쓰러진 암자를 다시 중창하였다. 사자산 법흥사(法興寺), 태백산 정암사(淨巖寺), 오대산 중대(中臺), 영축산 통도사(通度寺)의 적멸보궁과 함께 5대 적멸보궁(寂滅寶宮)이다.금강산 건봉사(乾鳳寺), 태조산 도리사(桃李寺), 비슬산 용연사(龍..
-
금강산 화암사조계종/그외 말사 2022. 12. 7. 08:30
금강산 화암사 (金剛山 禾巖寺)주 소 :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신평리 산 136-11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新興寺)의 말사로 신라 혜공왕 5년(769년) 진표율사(眞表律使)가 창건 화암사(華巖寺)라 하였다. 고종 1년(1864년) 수바위 아래에 옮겨 중건한 뒤 바위의 이름을 따서 수암사(穗岩寺)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912년 다시 지금의 이름 화암사(禾巖寺)로 고쳤다.일주문(一柱門) 란야원(蘭若院)수바위신라36대 혜공왕(惠恭王) 5년 진표율사가 769년에 창건한 화암사 남쪽 300미터 지점에 위치한 수바위는 화암사 창건자인 진표율사를 비롯한 이 절의 역대스님들이 수도장으로 사용하여 왔다.계란모양의 바탕위에 왕관모양의 또다른 바위가 놓여 있는데 윗면에는 길이가 1미터, 둘레 5미터의..
-
금강산 건봉사조계종/그외 말사 2022. 12. 6. 08:30
금강산 건봉사 (金剛山 乾鳳寺) 주 소 :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냉천리 37 홈 피 : https://www.geonbongsa.org/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新興寺)의 말사로 신라 법흥왕 7년(520년)에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창건하여 원각사(圓覺寺)라 이름하였다. 경덕왕 17년(758년)에 발징(發徵)스님이 중건하고 염불만일회(念佛萬日會)를 열었는데, 이것이 한국에서의 만일염불회의 시초이다. 신라 말기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중수(重修)하고 서봉사(西鳳寺)라하였으며 공민왕 7년(1358년)에 나옹(懶翁)선사가 중수하고 다시 건봉사(乾鳳寺)로 개칭하였다. 사자산 법흥사(法興寺), 설악산 봉정암(鳳頂庵), 태백산 정암사(淨巖寺), 오대산 중대(中臺), 영축산 통도사(通度寺)의 적멸보궁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