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
-
-
수원 화성박물관여 행 2024. 11. 13. 08:30
수원 화성박물관 주 소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 49 홈 피 : https://smuseum.suwon.go.kr/hs/main/view수원시는 우리 민족 문화유산의 자랑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수원 화성과 조선 후기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박물관을 건립 2009년 4월 개관하였다. 선정비(善政碑) 유형거(遊衡車) - 정약용이 수원 화성을 축조할 때 고안해 사용한 수레.거중기(擧重器) - 정약용이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고안한 장치.녹로(轆轤) - 긴 장대 끝에 도르래를 달고 끈을 얼레에 연결하여 돌을 높이 들어 올리는데 사용하던 높이 11m의 도구. (241107)
-
-
한덕골 교우촌믿 음/그외 성지,성당 등 2024. 11. 5. 08:30
한덕골 교우촌 ➽ - 1 주 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묵리 619-1 최양업 신부는 1849년 4월 상해에서 사제품을 받고, 그해 12월 압록강을 건너 의주를 통해서 조선으로 귀국하게 된다. 이후 충청도로 이동하여 페레올 주교에게 귀국 보고를 한 후, 양친의 순교 이후 넷째 동생 최신정을 보살펴 주던 작은아버지 최영겸 베드로가 살던 이곳 한덕골 교우촌을 방문하여 동생들과 만나서 며칠간 머무르며 형제들을 위로했다. (출처 : 희망의 순례자) (240919)
-
-
연주대조계종/그외 말사 2024. 5. 26. 08:30
연주대(戀主臺) 연주대는 해발 629m 높이로 관악산의 깍아지른 듯한 바위 벼랑 위에 있는 대(臺)이다. 통일신라 문무왕 17년(677년)에 의상대사가 관악사를 창건하고 연주봉에 암자를 세웠기에 의상대(義湘臺)라 하였으나, 지금은 연주대로 불린다. 연주대로 불리게 된 데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조선 개국 후 고려의 유신들이 이곳에서 망국의 수도였던 개경을 바라보며 그리워했다는 이야기와 세종대왕의 형들인 양녕대군, 효령대군이 왕위 계승에서 밀려 나자 이곳으로 입산하여 경복궁을 바라보며 국운을 기원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곳 연주대 축대 위에는 현재 응진전(應眞殿)이라는 법당이 있다. 법당 내부에는 석가여래삼존불상(釋迦如來三尊佛像)이 모셔져 있고, 응진전 옆 암벽에는 인공의 감실을 마련한 마애약사여래..
-
백남준 아트센터여 행 2024. 2. 7. 08:30
백남준 아트센터 주 소 : 경기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 85 홈 피 : https://njp.ggcf.kr/ 국내 유일의 미디어 아트 전문 공공미술관으로 백남준의 작품 세계와 예술혼을 기리기 위해 경기도와 경기도문화재단이 2008년 10월에 개관한 경기도립미술관이다.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자료실, 창작공간, 수장고, 연구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백남준 (白南準 1932 ~ 2006) 1932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과 홍콩에서 중학교를, 일본 가마쿠라에서 고등학교를 다녔고 도쿄대학교에 진학해 미학을 전공한 후,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음악으로 졸업 논문을 썼다. 1956년 독일로 건너가 유럽 철학과 현대 음악을 공부하는 동안 동시대 전위 예술가들과 활발하게 교류하면서 기존의 예술 규범, 관습과는 다른 급진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