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
익릉(翼陵)세계유산/조선왕릉 2019. 5. 23. 08:30
익릉(翼陵) 주 소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475-95 서오릉 내 홈 피 : http://royaltombs.cha.go.kr 제19대 숙종 원비(元妃) 인경왕후(仁敬王后) 김씨(1661~1680)의 단릉(單陵)이다. 숙종 6년(1680년)에 인경왕후 김씨가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인 숙종 7년에 고양 경릉(敬陵) 경내인 현재의 자리에 능을 조성하였다.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198호, 2009년 6월 2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정자각(丁字閣) 비각(碑閣) (190514) (사진 출처 : 문화재청)
-
명릉(明陵)세계유산/조선왕릉 2019. 5. 22. 08:30
명릉(明陵) 주 소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475-95 서오릉 내 홈 피 : http://royaltombs.cha.go.kr 제19대 숙종(肅宗 1661~1720, 재위 1674~1720)과 1 계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쌍릉(雙陵), 2 계비 인원왕후(仁元王后)의 단릉(單陵)으로 조성된 동원이강릉(同原異剛陵)이다. 숙종 27년(1701년)에 인현왕후 민씨가 세상을 떠나자 명릉에 제일 처음으로 능을 조성, 이후 숙종 45년(1720년)에 숙종이 세상을 떠나자 인현왕후의 능 옆으로 능을 조성하여 쌍릉의 형식을 이루었다. 명릉을 조성한지 37년이 지난 후 영조 33(1757년)에 인원왕후 김씨가 세상을 떠났다.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198호, 2009년 6월 2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
-
소수서원세계유산/한국의 서원 2019. 5. 12. 08:30
소수서원 (紹修書院) 주 소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40 홈 피 : http://www.yeongju.go.kr/open_content/sosuseowon/index.do 중종 37년(1542년)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이 고려시대 유학자인 회헌(晦軒) 안향(安珦)의 사묘(祠廟)를 세우고 중종 38년(1543년)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설립한 것이 이 서원의 시초이다. 명종 5년(1550년) 이황(李滉)이 풍기군수로 부임해 와서 조정에 상주하여 소수서원이라는 사액(賜額)을 받은 최초의 서원이자 사액서원(賜額書院 - 조선시대에 국왕으로부터 서원명현판과 노비·서적 등을 받은 서원)이다. 고종 8년(1871년)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철폐를 면한 47서원 가운데 하나로 1963년 1월 사적..
-
헌릉(獻陵)세계유산/조선왕릉 2019. 5. 1. 08:30
헌릉(獻陵)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 산13-1 홈 피 : http://royaltombs.cha.go.kr 제3대 태종(太宗 1367~1422, 재위 1400~1418)과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1365∼1420)의 쌍릉(雙陵)이다. 세종 2년(1420년)에 태종의 왕비 원경왕후가 왕대비의 신분으로 세상을 떠나, 광주 대모산에 먼저 능을 조성하였다. 원경왕후의 능을 조성할 때 태종은 자신의 능자리를 미리 만들었다. 이후 세종 4년(1422년)에 태종이 태상왕의 신분으로 세상을 떠나 원경왕후의 능 서쪽에 능을 조성하였다.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194호, 2009년 6월 2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정자각(丁字閣) 비각(碑閣) 1424년 건립된 구 신도비(舊 神道碑) 숙종..
-
인릉(仁陵)세계유산/조선왕릉 2019. 4. 24. 08:30
인릉(仁陵)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 산13-1 홈 피 : http://royaltombs.cha.go.kr 제23대 순조(純祖 1790~1834, 재위 1800∼1834)와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1789∼1857)의 합장릉(合葬陵)이다. 순조 34년(1834년)에 순조가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인헌종 1년( 1835년)에 파주 교하의 인조 장릉(長陵) 근처에 능을 조성하였다. 그러나 풍수지리상 불길론이 제기되면서 철종 6년(1855년)부터 본격적인 천장 논의를 하여 다음해인 철종 7년(1856년)에 헌릉 서쪽 언덕인 현재의 자리로 천장하였다. 그 후 철종 8년(1857년)에 순원숙황후가 세상을 떠나자, 인릉에 합장으로 능을 조성하였다.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194호, 2009년 6월..
-
부여 나성세계유산/백제역사 유적지구 2019. 4. 17. 08:30
부여 나성(扶餘 羅城) 주 소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염창리 565번지 백제의 수도 사비를 보호하기 위해 쌓은 둘레 8㎞의 성이다. 부소산성을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으로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부여시가지 외곽을 둘러싸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평양에 있는 나성과 함께 가장 오래된 나성 중의 하나이며, 웅진(지금의 공주)에서 사비(지금의 부여)로 수도를 옮긴 538년경에 쌓은 것으로 보인다. 성벽은 부소산성의 동문이 있던 자리에서 시작하여 금강변까지 흙으로 쌓아만든 것으로, 지금은 약간의 흔적만 남아있다. 성의 바깥쪽 벽은 급한 경사를 이루고 안쪽 벽은 완만하여, 성위에서 말을 달릴 만한 길이 있고 곳곳에 초소가 있다. 가장 높은 산봉우리인 필서봉에는 횃불을 올리던 봉수터와 건물터가 남아있다. 성안에는 백..
-
능산리 고분군세계유산/백제역사 유적지구 2019. 4. 10. 08:30
능산리 고분군(陵山里 古墳群) 주 소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15번지 부여 능산리산의 남쪽 경사면에 자리잡고 있는 백제 무덤들이다. 무덤은 앞뒤 2줄로 3기씩 있고, 뒤쪽 제일 높은 곳에 1기가 더 있어 모두 7기로 이루어져 있다. 오래 전부터 왕릉으로 알려져 왔던 곳으로 일제시대에 1∼6호 무덤까지 조사되어 내부구조가 자세히 밝혀졌고, 7호 무덤은 1971년 보수공사 때 발견되었다. 고분의 겉모습은 모두 원형봉토분이고, 내부는 널길이 붙은 굴식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으로 뚜껑돌 아래는 모두 지하에 만들었다. 내부구조와 재료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1호 무덤(동하총)은 네모형의 널방과 널길로 이루어진 단실무덤으로 널길은 비교적 길고 밖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나팔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