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서지마을 (서지 교우촌)믿 음/그외 성지,성당 등 2024. 12. 11. 08:30
서지마을 (서지 교우촌) 주 소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손곡리 343 서지마을은 최양업 신부의 서한에 등장하는 최양업 신부의 먼 친척인 복자 최해성 요한이 살던 교우촌이다. 최해성은 서지마을에 작은 교우촌을 만들어 이웃들에게 교리를 가르치고 착한 표양으로 모든 이의 귀감이 되었다. 최양업 신부는 극도로 비참한 가난과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변치 않는 인내심을 발휘했고, 이웃들에게 베푸는 삶에 충실했던 순교자 최해성의 이야기를 그의 서신에서 전하고 있다. (출처 : 희망의 순례자) 십자가의 길 ☞ (241008)
-
-
-
태백산 보덕사조계종/그외 말사 2024. 12. 8. 08:30
태백산 보덕사 (太白山 報德寺) 주 소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1110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로 신라 신문왕 6년(686년) 의상(義湘)이 창건하고 지덕사(旨德寺)라 하였다. 세조 3년(1457년) 단종이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되어 이곳 영월로 유배되어 와 사찰명을 노릉사(魯陵寺)라 개칭하였으며 영조 2년(1726년) 장릉수호조포사(莊陵守護造泡寺)라는 은전이 베풀어지며 보덕사로 개명하여 장릉(莊陵)의 능사(陵寺)가 되었다.* 조포(造泡)는 두부를 만든다는 의미로, 조포사(造泡寺)는 능묘에서 치러지는 제사에 제물(祭物)을 공급하는 사찰을 의미했다. 조선전기까지만 해도 이들 사찰은 능침사(陵寢寺)나 진전사찰(眞殿寺刹), 원당사찰(願堂寺刹) 등으로 지칭되었는데, ..
-
국보 제 331호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국 보 2024. 12. 4. 08:30
국보 제 331호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 (昌德宮 摛文院 測雨臺)주 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57, 국립고궁박물관지정일 : 2020년 02월 27일국보 제331호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昌德宮 摛文院 測雨臺)’는 1782년(정조 6) 정조의 명에 의해 창덕궁 규장각의 부속 건물인 이문원(摛文院) 앞에 설치되었던 것으로, 이는 측우대 좌우 네 면에 새겨진 ‘측우기명(測雨器銘)’과 19세기 궁궐그림인 를 통해 확인된다. 에는 이문원 앞뜰에 받침돌 없이 놓인 것으로 그려진 측우대 한 기가 그려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이다. 석재는 조선시대 왕실유물에 많이 쓰인 대리석(당시는 대리암으로 불림)으로, 잘 다듬어 유려하게 새긴 글씨 또한 중앙의 장인이 제작했음을 보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