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
함월산 기림사조계종/본사+33관음성지 2022. 3. 10. 08:30
함월산 기림사 (含月山 祇林寺) * 33관음성지 제22호주 소 :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호암리 417 홈 피 : http://kirimsa.net/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佛國寺)의 말사로 선덕여왕 12년(643년) 천축국(天竺國) 승려 광유(光有)가 창건, 임정사(林井寺)라고 하다가 원효(元曉)가 석가모니가 가장 오래 머물렀던 기원정사(祇園精舍)의 의미인 기(祇)자와 옛 임정사의 임(林)을 더해 기림사(祇林寺)라 개창(開創)하였다.일주문(一柱門)천왕문(天王門) 범종루(梵鐘樓) 진남루(鎭南樓)종무소(宗務所) 응진전(應眞殿) 삼층석탑(三層石塔)대적광전(大寂光殿) - 보물 제 833호 약사전(藥師殿) 삼천불전(三千佛殿) 관음전(觀音殿) 삼성각(三聖閣) 명부전(冥府殿) 기림..
-
국보 제 112호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국 보 2022. 3. 8. 08:30
국보 제 112호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慶州 感恩寺址 東ㆍ西 三層石塔)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55-3, 55-9번지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감은사터 넓은 앞뜰에 나란히 서 있는 쌍탑이다.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서로 같은 규모와 양식을 하고 있으며, 옛신라의 1탑 중심에서 삼국통일 직후 쌍탑가람으로 가는 최초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감은사는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이 새 나라의 위엄을 세우고, 당시 틈만 나면 동해로 쳐들어 오던 왜구를 부처의 힘으로 막아내어 나라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세운 절로, 동해 바닷가인 이 곳에 터를 잡았다. 문무왕은 생전에 절이 완성되는 것을 보지 못하고, 그 아들인 신문왕이 아버지의 뜻을 이어받아 즉위 ..
-
국보 제 24호 경주 석굴암 석굴국 보 2022. 3. 5. 08:30
국보 제 24호 경주 석굴암 석굴 (慶州 石窟庵 石窟)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999, 석굴암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석굴암은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대상이었던 김대성이 창건을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으며, 건립 당시에는 석불사라고 불렀다. 경덕왕은 신라 중기의 임금으로 그의 재위기간(742∼765) 동안 신라의 불교예술이 전성기를 이루게 되는데, 석굴암 외에도 불국사, 다보탑, 삼층석탑, 황룡사종 등 많은 문화재들이 이때 만들어졌다. 토함산 중턱에 백색의 화강암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석굴을 만들고, 내부공간에 본존불인 석가여래불상을 중심으로 그 주위 벽면에 보살상 및 제자상과 역사상, 천왕상 등 총 40구의 불상을 조각했으나 지금은 38구만이 ..
-
토함산 불국사조계종/본사+33관음성지 2022. 3. 3. 08:30
토함산 불국사 (吐含山 佛國寺) *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본사, 33관음성지 제23호 주 소 :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15-1 홈 피 : http://www.bulguksa.or.kr/ 불국사의 창건에 관한 기록으로 가장 오래된《불국사고금창기(佛國寺古今創記)》에는 서기 528년(신라 법흥왕 15) 법흥왕의 어머니 영제부인(迎帝夫人)의 발원(發願)으로 불국사를 창건하여 574년 진흥왕(眞興王)의 어머니인 지소부인(只召夫人)이 절을 크게 중건하면서 비로자나부처님(毘盧遮那佛)과 아미타부처님(阿彌陀佛)을 주조해 봉안했고, 670년(문무왕 10)에는 무설전(無說殿)을 새로 지어 《화엄경(華嚴經)》을 강설(講說)하였으며, 그 후 751년(경덕왕 10)에 김대성(金大城)에 의하여 크게 개수되면서 탑과 석교 등도 ..
-
국보 제 27호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국 보 2022. 3. 2. 08:30
국보 제 27호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慶州 佛國寺 金銅阿彌陀如來坐像)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15번지, 불국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경주시 토함산 기슭에 자리잡은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삼국유사』에 의하면 김대성은 현세의 부모를 위해 불국사를, 전생의 부모를 위해 석굴암 석굴을 창건하였다고 한다.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불국사 극락전에 모셔진 높이 1.66m의 불상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기교있게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다. 원만하고 자비스러운 얼굴은 정면을 향하고 있으며, 눈썹은 반원형이고 콧날은 오똑하다. 신체 표현은 장중하여 건장한 남성의 체..
-
국보 제 26호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국 보 2022. 3. 1. 08:30
국보 제 26호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慶州 佛國寺 金銅毘盧遮那佛坐像)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15번지, 불국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경주시 토함산 기슭에 자리잡은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삼국유사』에 의하면 김대성은 현세의 부모를 위해 불국사를, 전생의 부모를 위해 석굴암 석굴을 창건하였다고 한다. 불국사 비로전에 모셔져 있는 높이 1.77m의 이 불상은 진리의 세계를 두루 통솔한다는 의미를 지닌 비로자나불을 형상화한 것이다. 머리에는 머리칼을 작은 소라 모양으로 표현하였으며, 얼굴은 위엄이 있으면서도 자비로운 인상을 풍기고 있다.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은 옷은 매우 얇게 표현되어 있다.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고 있는..
-
성류굴여 행 2022. 2. 27. 08:30
성류굴 (聖留窟) 주 소 :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구산리 404-4 '성불이 머물던' 뜻으로 성류굴(聖留窟)이라 부른다. '선유굴(仙遊窟)' ‘탱천굴’ ‘장천굴(掌天窟)’이란 이름으로도 불리며 기묘한 석회암들이 마치 금강산을 보는 듯하여 ‘지하금강’이라 불리기도 한다. 2억 5천만의 연륜이 쌓인 동굴로 추정하고 있으며, 남북으로 총연장 870m 정도 뚫어져 있다. 최대 광장은 폭 18m, 길이 25m, 높이 40m이며 수심은 대개 4-20m이고 온도는 15~17℃로 연중 거의 변화가 없다. 1963년 천연기념물 155호로 지정되었다. (21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