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
촛대바위 / 행남 해안산책로여 행 2023. 5. 7. 08:30
촛대바위 주 소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옛날 저동마을에 한 노인이 아내와 일찍 사별하고 딸과 함께 살고 있었다. 어느날 조업을 나간 노인의 배가 심한 풍랑을 맞아 돌아오지 않았다. 상심한 딸은 바다를 바라보며 눈물로 며칠을 보낸후 아버지가 돌아온다는 느낌이 들어 바닷가에 가보니 돛단배가 들어오고 있었다. 딸은 기다리고만 있을 수 없어서 배가 있는 쪽으로 파도를 헤치고 다가 갔다. 그러나 파도를 이길 수 없어 지쳤고, 그 자리에 바위가 되어 버렸다. 그 후 이 바위를 촛대바위 또는 효녀바위라고 부른다. 행남 해안산책로 주 소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항 촛대바위 총거리 3.0km의 해안 산책로 * 행남(저동) 해안산책로 * 행남(도동) 해안산책로 (230328)
-
독 도여 행 2023. 4. 30. 08:30
독 도 주 소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홈 피 : https://dokdo.mofa.go.kr/kor/ 동도와 서도 2개의 큰 섬과 주변 89개 부속도서 총면적 187,554㎡로 이루어져 있다. 독도는 역사적으로 삼봉도(三峰島), 가지도(可支島), 우산도(于山島), 자산도(子山島), 석도(石島)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현재의 지명은 독도(獨島)이다. 대한 제국은 1900년 ‘칙령 제41호’를 공포하여 독도가 울도군(울릉도)의 관할 구역임을 분명히 하였고, 울도 군수로 하여금 독도를 통치하도록 하였다. 독도가 대한민국의 고유 영토라는 사실은 일본 측의 문헌에도 나타난다. 17세기 후반 조선과 에도 막부 사이에 울릉도 주변 불법 어로 행위를 둘러싼 교섭이 진행되었는데, 이를 ‘울릉도쟁계’라고 한다. ..
-
운제산 오어사조계종/그외 말사 2023. 4. 26. 08:30
운제산 오어사 (雲梯山 吾魚寺) 주 소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항사리 34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佛國寺)의 말사로 신라 진평왕 때 창건하여 항사사(恒沙寺)라 하였으며, 영조 12년(1736년) 화재로 전소되었으며, 1741년에 치철(致哲)이 화주(化主)가 되어 절을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신라의 고승 원효(元曉)와 혜공(惠空)이 이곳의 계곡에서 물고기를 살려 내고자 하는 시합을 통해 서로의 법력을 시험하였는데, 그 중 한 마리는 살지 못하고, 다른 한 마리는 살아서 힘차게 헤엄치는 것을 보고 서로 자기가 살린 물고기 즉 오어 (吾魚)라 한데서 유래한 절이름이다. 일주문(一柱門) 가학루(駕鶴樓) 대웅전(大雄殿) 관음전(觀音殿)종무소(宗務所) 해수관세음보살(海水觀世音菩薩..
-
환호공원 / 스페이스 워크여 행 2023. 4. 23. 08:30
환호공원 / 스페이스 워크 주 소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두호동 산 8 홈 피 : https://www.spacewalk.or.kr/ 작품 규모 60mx 56m x 25(h)m, 트랙의 총 길이 333m, 계단 개수 717개의 스페이스 워크(Space Walk)는 포스코가 기획·제작·설치하여 포항시민에게 기부한 작품이다. 주 재료는 포스코에서 생산한 탄소강(SM355)과 스테인리스강(STS329J3L)이며, 독일의 세계적인 부부 작가 하이케 무터와 울리히 겐츠가 디자인하고 포스코건설이 제작·설치하였으며 2021년 11월 개장하였다. 환호공원 주 소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환호동 산 56-1 포항 시민의 보건과 휴양 및 정서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성된 공원으로 2001년 개장하였다. (230327)
-
노악산 남장사조계종/그외 말사 2022. 11. 22. 08:30
노악산 남장사 (露嶽山 南長寺) 주 소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502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로 신라 흥덕왕 7년(832년) 진감(眞鑑)국사가 창건하여 장백사(長柏寺)라 하였으나 고려 명종 16년(1186년) 각원(覺圓)화상이 지금의 터에 옮겨 짓고 남장사라 하였다. 일주문(一柱門) 400여년 된 느티나무 범종루(梵鐘樓) 극락보전(極樂寶殿)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 보물 제 1635호이다. 설법전(說法殿) 해탈문(解脫門) 다향당(茶香堂) 보광전(普光殿) 철조비로자나불좌상(鐵造毘盧遮那佛坐像) - 보물 제 990호이다.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 - 보물 제 922호이다. 금륜전(金輪殿), 산신각(山神閣) 진영각(眞影閣) 교남강당(嶠南講堂..
-
남장사 석장승여 행 2022. 10. 30. 08:30
남장사 석장승 주 소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산63-6번지 장승은 마을이나 사찰 입구에 세워 귀신과 액운의 출입을 막고, 절의 재산과 경계를 표시하거나 마을에서는 수호신의 기능을 겸하였다. 전체 높이 186㎝의 자연 돌을 그대로 살려 조각한 이 장승은 원래 남장동에 있었는데, 1968년 저수지 공사로 인해 지금의 자리로 옮겨놓았다. 팔 아래에 '하원당장군 임진구월입 (下元唐將軍 壬辰九月立)'이라 새겨져 있어 1832년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토속문화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민간신앙유산이다. (22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