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
문화비축기지여 행 2021. 5. 16. 08:30
문화비축기지 주 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증산로 87 홈 피 : http://parks.seoul.go.kr/template/sub/culturetank.do 1973년 석유파동 이후 76~78년에 5개 탱크를 건설해 당시 서울시민이 한 달 정도 소비할 수 있는 양인 6,907만 리터의 석유를 보관했던 마포석유비축기지는 2002년 월드컵을 앞두고 안전상의 이유로 폐쇄됐는데, 10년 넘게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다가 지난 2013년 시민아이디어공모를 통해 문화비축기지로 변신하였다. 기존 5개의 탱크는 열린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하였고, 해체된 탱크의 철판을 활용해 만들어진 T6는 시민들의 커뮤니티 공간이 되었다. 우리의 빛 - 김신일 - T6. 커뮤니티센터(Community Center) T1과 T2를 해체하며..
-
용산 성직자 묘지 - 2믿 음/성지순례(167곳) 2020. 12. 8. 08:30
용산 성직자 묘지 - 2 ➽ - 1 한국 교회에서 언제 이곳에 성직자 묘지를 마련하기로 결정하였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1887년 이 일대를 신학교 부지로 매입한 직후로 추정한다. 당시 조선대목구는 용산 함벽정(현 원효로 성심 여자 고등학교 자리)과 삼호정 일대의 임야를 매입하여 여주군 강천면에 있던 예수 성심 신학교를 옮기고, 삼호정 뒷산을 성직자 묘지로 정하였다. 현재 용산 성당 내에 있는 성직자 묘지에는 주교 4위, 신부 64위, 신학생 2위, 치명자 1위 등 모두 71위가 안장되어 있다. 특히 초대 조선대목구장으로 임명되었지만 끝내 조선에 들어오지 못하고 만주 땅에서 병사한 브뤼기에르 주교의 유해를 조선교구 설정 100주년을 맞아 1931년 10월 10일 이곳으로 이장함으로써 성직자 묘..
-
한국 순교자 103위 시성 터믿 음/성지순례(167곳) 2020. 11. 25. 08:30
한국 순교자 103위 시성 터 - 개정 증보판('19.6.30)에서 추가 주 소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 여의도 공원 내 1984년 5월 6일 여의도 광장에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한국 천주교회 200주년 기념 신앙 대회와 103위 순교 복자 시성식’을 거행하였다. 한국 천주교회 순교 복자 김대건 안드레아와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101위를 성인의 반열에 을리고 전 교회에서 그들을 경건히 공경해야 함을 선포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역사적인 시성 선언으로 한국 천주교회 103위 성인이 탄생하게 되었다. 더욱이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직접 한국을 방문하여 103명의 복자를 성인의 반열에 을림으로써 한국 교회에 새로운 빛을 부여하였다. 100년이 넘도록 계속된 박해 중에 만여 명이 순교하였..
-
노고산 성지 - 2믿 음/성지순례(167곳) 2020. 11. 24. 08:30
노고산 성지 - 2 ➽ - 1 주 소 : 서울시 마포구 신수동 1-1 서강대학교 가브리엘관 앞 노고산 성지는 천주교 박해가 시작된 이후, 사형을 당하고 그대로 형장에 내버려진 순교자들의 시신을 신자들이 목숨을 걸고 관가의 눈을 피해 모셨던 곳 가운데 하나로. 여러 처형장과 가까워 많은 순교자들이 임시로 매장되었다. 1839년 기해박해가 시작되고 세 명의 외국인 사제, 곧 앵베르 주교, 모방 신부, 샤스탕 신부가 9월 21일 새남터에서 순교하였다. 이때 앵베르 주교의 나이 43세, 모방 신부와 샤스탕 신부는 36세로 동갑이었다. 이들의 시신은 사흘 동안 버려져 있다가 한강변 모래톱에 묻혔다. 그 뒤 이십 일가량 지나서 7-8명의 신자가 죽음을무릅쓰고 감시의 눈을 피해 시신을 거두는 데 성공하였다. 신자들은..
-
서소문 밖 네거리 순교 성지 - 3믿 음/성지순례(167곳) 2020. 11. 17. 08:30
서소문 밖 네거리 순교 성지 - 3 ➽ - 1 노숙자 예수 성지 역사박물관 ☞ (2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