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
고초골 공소믿 음/그외 성지,성당 등 2021. 1. 9. 08:30
고초골 공소 주 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학일리 원삼본당이 관할하는 고초골 공소는 수원교구 공소 중 가장 오래된 곳으로 조선 박해 시기 때 형성된 고초골 교우촌에 1891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고초골 출신 병인박해 순교자는 유군심(치릴로) 등 5위가 있으며, 2016년부터 전 수원교구장 최덕기 주교가 공소 마을에서 지내게 되면서 지금은 ‘주교님과 신자가 함께 사는 마을’이 됐다. 2018년 3월 문화재 제 708호로 지정되었다. 십자가의 길 ☞ 주교관 (201208)
-
동백 성루카 병원 성당믿 음/그외 성지,성당 등 2020. 9. 26. 08:30
동백 성루카 병원 성당 주 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동 430-1 십자가의 길 ☞ (200623)
-
심곡서원여 행 2019. 2. 17. 08:30
심곡서원(深谷書院) 주 소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203-2 심곡서원은 조선 중기 중종 대의 학자이며 정치가였던 정암 조광조(靜庵 趙光祖) 선생의 뜻을 기리고 제사 지내기 위해 세운 서원(書院)이다. 선생은 조선 중종때 사림파(士林派)의 대표로 활약하면서 급진적인 사회개혁정치를 추진하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 - 1519년에 조광조와 사림파 인사들이 대거 숙청된 사건)로 사약을 받고 죽음을 당하였다. 효종 원년(1650년) 조광조의 학덕과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서원을 설립하였으며, 효종은 '심곡(深谷)'이라는 현판과 토지, 노비등을 하사하여 심곡서원은 사액서원(賜額書院)이 되었다. 이곳은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 때에도 무사했던 전국 47개 서원, 사당 중의 하나로서, 선현에 대한 제사와 지방교육을 ..
-
조광조 묘 및 신도비여 행 2019. 2. 10. 08:30
조광조 묘 및 신도비 (趙光祖 墓, 神道碑) 주 소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산 55-1 조선중기의 문신인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1482~1519) 선생은 조선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性理學者)로, '소학동자(小學童子)’ 로 널리 알려진 김굉필(金宏弼)에게 학문을 배움으로써 조선 성리학의 종장(우두머리) 김종직(金宗直)의 학통을 이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정치가로서는 사림파(士林派)를 이끄는 지도자의 역할을 하였습니다. 그는 중종 5년(1515년)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면서 관직에 발을 들였습니다. 당시 사회분위기는 폭군 연산군에 의해 무너진 사회기강을 바로 세우기 위해 변화를 모색하고 있던 시기였는데, 선생은 사림파를 이끌며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유교를 정치의 근본으로 ..
-
은이·골배 마실 성지(은이) - 2믿 음/성지순례(167곳) 2018. 4. 18. 08:30
은이 성지 - 2 * 김가항 성당 성 김대건 신부가 사제품을 받은 장소인 중국 상해 김가항성당을 복원한 성전을 2016년 9월 24일 교구장 이용훈 주교 주례로 봉헌식을 거행했다. 성전 옆에 건립된 ‘김대건 기념관’ 축복식도 이날 함께 열렸다. 십자가의 길 ☞ * 김대건 기념관 (180403) * 은이 성지 - 3 ➽ - 3 골배마실은 한국 최초의 사제인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가 소년 시절을 보낸 곳이다. 이곳에서 김대건 신부는 그의 나이 15세 때 모방 신부에 의해 마카오로 유학을 떠나게 될 때까지 몸과 마음을 준비하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김대건 신부는 사제가 된 후 이곳 골배마실에서 어머니 고 우르술라와 감격의 재회를 한다. 골배마실과 이웃한 은이 성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