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
지리산 연곡사조계종/그외 말사 2021. 9. 23. 08:30
지리산 연곡사(智異山 鷰谷寺)주 소 :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1014 홈 피 : http://www.yeongoksa.kr/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華嚴寺)의 말사로 백제 성왕 22년(544년) 화엄사의 종주(宗主)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창건하여 임진왜란 때 전소된 것을 태능(太能)이 중건하였으며 6·25전쟁 때 다시 소실된 후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일주문(一柱門)천왕문(天王門) 삼홍루(三紅樓)종각(鐘閣)무설전(無說殿)관음전(觀音殿) 대적광전(大寂光殿) 종무소(宗務所)명부전(冥府殿)삼성각(三聖閣) 연곡사 동 승탑(鷰谷寺 東 僧塔) - 국보 제 53호 ☞연곡사 동 승탑비(鷰谷寺 東 僧塔碑) - 보물 제 153호연곡사 북 승탑(鷰谷寺 北 僧塔) - 국보 제 54..
-
국보 제 47호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국 보 2021. 9. 18. 08:30
국보 제 47호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 소재지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 쌍계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통일신라 후기의 유명한 승려인 진감선사의 탑비이다. 진감선사(774∼850)는 불교 음악인 범패를 도입하여 널리 대중화시킨 인물로, 애장왕 5년(804)에 당나라에 유학하여 승려가 되었으며, 흥덕왕 5년(830)에 귀국하여 높은 도덕과 법력으로 당시 왕들의 우러름을 받다가 77세의 나이로 쌍계사에서 입적하였다. 비는 몸돌에 손상을 입긴 하였으나, 아래로는 거북받침돌을, 위로는 머릿돌을 고루 갖추고 있는 모습이다. 통일신라 후기의 탑비양식에 따라 거북받침돌은 머리가 용머리로 꾸며져 있으며, 등에는 6각의 무늬가 가득 채워져 있다. 등 중앙에는 비..
-
국보 제 54호 구례 연곡사 북 승탑국 보 2021. 9. 16. 08:30
국보 제 54호 구례 연곡사 북 승탑 (求禮 鷰谷寺 北 僧塔) 소재지 :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는 곳이 탑이라면, 수행이 높았던 스님의 사리를 두는 곳이 승탑이다. 구성은 석탑과 비슷해서, 기단(基壇) 위에 사리를 모시는 탑신(塔身)을 두고 그 위에 머리장식을 얹게 된다. 이 승탑은 연곡사 내의 북쪽 산 중턱에 네모나게 둔 바닥돌 위로 세워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연곡사는 고려 초까지 스님들이 선(禪)을 닦는 절로 이름이 높았는데, 이 때문인지 이 곳에는 북 승탑 외에도 구례 연곡사 동 승탑(국보 제53호),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보물 제154호) 등이 더 모셔져 있다. 북 승탑은 그 중..
-
국보 제 53호 구례 연곡사 동 승탑국 보 2021. 9. 11. 08:30
국보 제 53호 구례 연곡사 동 승탑 (求禮 鷰谷寺 東 僧塔) 소재지 :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탑이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곳이라면, 승탑은 유명했던 스님들의 사리를 두는 곳이다. 승탑의 구성은 석탑과 같아서, 기단(基壇) 위에 사리를 모시는 탑신(塔身)을 두고 그 위에 머리장식을 얹는다. 이 승탑은 연곡사의 동쪽에 네모난 바닥돌위로 세워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연곡사는 고려 전기까지 스님들이 선(禪)을 닦는 절로 이름이 높았는데, 이 때문인지 이곳에는 이 승탑 외에도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보물 제154호), 구례 연곡사 북 승탑(국보 제54호) 등 2기가 더 있다. 동 승탑은 그 중 형태가 가장 아름답고 우..
-
국보 제 301호 화엄사영산회괘불탱국 보 2021. 9. 9. 08:30
국보 제 301호 화엄사영산회괘불탱 (華嚴寺靈山會掛佛幀) 소재지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지정일 : 1997년 09월 22일 석가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모습인 영산회상을 그린 괘불이다.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림을 말한다. 화엄사에 있는 이 괘불의 크기는 길이 11.95m, 폭 7.76m이다. 석가불을 중심으로 문수보살·보현보살과 사천왕상 등이 배치되었다. 화면 중앙의 석가불은 높다랗게 만들어진 단의 연꽃받침 위에 앉아 있으며, 마귀를 물리친다는 의미로 손가락이 땅으로 향한 손모양을 취하고 있다. 둥근 얼굴과 어깨에서 부드럽고 원만한 느낌을 주고 필선은 매우 섬세하고 치밀해 세련미를 더한다. 석가불 좌우로 문수보..
-
지리산 화엄사조계종/본사+33관음성지 2021. 9. 4. 08:30
지리산 화엄사(智異山 華嚴寺) *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 33관음성지 제14호 주 소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산 20-1 홈 피 : http://www.hwaeomsa.com/ 1978년에 발견된 신라 경덕왕대의 "신라 백지묵서 대방광불화엄경(新羅 白紙墨書 大方廣佛華嚴經)"에 의하면 황룡사(皇龍寺)의 승려인 연기조사(緣起祖師)는 화엄경 사경(華嚴經 寫經)을 경덕왕 13년(754년) 8월부터 만들기 시작하여 이듬해 2월에 완성시켰다. 이에 따라 화엄사 창건연대는 신라 경덕왕(재위 742~765: 신라 제35대 왕) 때이다. 조선 세종 6년(1424년)에 선종대본산(禪宗大本山)으로 승격되었다. 임진왜란의 병화로 전소 되었으나 각성(覺性)이 중건하여 1649년 선종..
-
국보 제 336호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국 보 2021. 9. 2. 08:30
국보 제 336호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求禮 華嚴寺 木造毘盧遮那三身佛坐像) 소재지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지정일 : 2021년 06월 23일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은 화엄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1635년(인조 13) 조선 후기 유명 조각승인 청헌(淸軒, 淸憲)과 응원(應元), 인균(印均)을 비롯해 이들의 제자들이 협업해 완성한 17세기를 대표하는 불교조각이다. ‘삼신불’은 법신(法身)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 보신(報身) 노사나불(盧舍那佛), 화신(化身) 석가불(釋迦佛)을 말하며 화엄사상에 근원을 둔 도상으로서, 변상도나 사경(寫經), 불화에서는 많이 보이지만, 조각작품으로는 유일해 조선 후기 불교사상사와 조각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사례..
-
국보 제 67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국 보 2021. 8. 28. 08:30
국보 제 67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 (求禮 華嚴寺 覺皇殿) 소재지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화엄사는 지리산 남쪽 기슭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시대에 지었다고 전한다. 조선시대에는 선종대본산(禪宗大本山) 큰절이었는데, 임진왜란 때 완전히 불타버린 것을 인조 때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원래 각황전터에는 3층의 장육전이 있었고 사방의 벽에 화엄경이 새겨져 있었다고 하나, 임진왜란 때 파괴되어 만여점이 넘는 조각들만 절에서 보관하고 있다. 조선 숙종 28년(1702)에 장륙전 건물을 다시 지었으며, ‘각황전’이란 이름은 임금(숙종)이 지어 현판을 내린 것이라고 한다. 이 건물은 신라시대에 쌓은 것으로 보이는 돌기단 위에 앞면 7칸·옆면 5칸 규모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