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보
-
국보 제 322-1호 삼국사기국 보 2021. 11. 30. 08:30
국보 제 322-1호 삼국사기 (三國史記)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7, 옥산서원 지정일 : 2018년 02월 22일 『삼국사기』는 김부식(金富軾, 1075∼1151)이 1145년(고려 인종 23년)에 삼국시대의 역사를 기전체(紀傳體)로 편찬한 것이다.『삼국유사(三國遺事)』와 함께 삼국시대 연구의 기본사료로 인식되고 있다. 국보 제322-1호 『삼국사기』는 1573년(선조 6) 경주부(慶州府)에서 인출(印出)하여 옥산서원에 보내준 것으로, 고려시대에 처음 새긴 원판(原板)과 조선 태조 때에 개각(改刻)한 것, 중종 때 다시 개각한 것 등 3종의 판(板)이 종류별로 섞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총 9책으로 구성된 완질본(完帙本)이자 인출상태와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또한 1573년 당시 유통경..
-
국보 제 199호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국 보 2021. 11. 27. 08:30
국보 제 199호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慶州 斷石山 神仙寺 磨崖佛像群)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송선리 산89 지정일 : 1979년 05월 22일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단석산 중턱에 이르면 거대한 암벽이 ㄷ자 모양으로 높이 솟아 하나의 석실(石室)을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에 인공적으로 지붕을 덮어서 석굴 법당을 만들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바위면에는 10구의 불상과 보살상이 새겨져 있어 장관을 이루고 있다. 동북쪽의 독립된 바위면에는 도드라지게 새긴 높이 8.2m의 여래입상이 1구 서 있다. 둥근 얼굴에 미소가 가득하며, 머리 위로 2단으로 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작게 솟아있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에는 U자형 주름이 선명하고, 트인 가슴 사이로는 띠매듭이 보인다..
-
국보 제 264호 포항 냉수리 신라비국 보 2021. 11. 25. 08:30
국보 제 264호 포항 냉수리 신라비 (浦項 冷水里 新羅碑) 소재지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신광면 토성리 342-1번지 신광면사무소 지정일 : 1991년 03월 15일 이 비는 1989년 마을주민이 밭갈이를 하던 중 발견하였으며, 재산분배를 확인하는 증명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형태는 네모난 자연석으로 밑부분이 넓고 위가 줄어드는 모습이며, 앞면과 뒷면, 그리고 윗면의 3면에 글자를 새겼다. 비문은 거의 닳지 않아 눈으로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보존상태가 좋다. 글자는 총 231자이고 서체는 해서체로 보이나, 예서체의 기풍이 많이 남아 있어 비문의 형태와 글씨체면에서 중원고구려비(국보 제205호), 울진봉평신라비(국보 제242호)와 매우 비슷하다. 비문은 절거리(節居利)라는 인물의 재산소유와 유산상속문..
-
국보 제 327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국 보 2021. 10. 23. 08:30
국보 제 327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扶餘 王興寺址 出土 舍利器)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산16-1, 국립부여박물관 지정일 : 2019년 06월 26일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는 2007년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발굴한 유물로,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사리기이다. 부여 왕흥사지(王興寺址)라는 출토지가 분명하고 청동제 사리합에 새겨진 명문에 의해 577년(위덕왕 24)에 제작한 사실을 알 수 있어 절대연대가 확실할 뿐 아니라『삼국사기(三國史記)』 등의 문헌기록을 보완할 수 있는 자료이다. 해당 유물은 백제 사비시기 위덕왕(威德王)에 의해 제작된 왕실 공예품으로서 공예사적 가치가 높으며, 죽은 왕자를 위해 발원된 기년명(紀年銘) 사리장엄구로서 가장 이..
-
국보 제 328호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국 보 2021. 10. 16. 08:30
국보 제 328호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 (醴泉 龍門寺 大藏殿과 輪藏臺) 소재지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391, 용문사 지정일 : 2019년 12월 02일 ㅇ 예천 용문사는 신라 경문왕대 두운선사(杜雲禪師)가 당나라에서 돌아와 초암을 짓고 정진한데서부터 비롯되었으며, 후삼국 쟁탈기에 왕건과 관계를 맺으며 사찰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ㅇ 대장전과 윤장대는 고려 명종 3년(1173년) 국난(김보당의 난) 극복을 위해 조응대선사(祖膺大禪師)가 발원하고 조성한 것으로, 고대 건축물로는 매우 드물게 발원자와 건립시기, 건립목적이 분명하게(重修龍門寺記/1185년) 드러나 있다. 대장전과 윤장대는 초창 이래 여러 차례 수리된 것으로 확인되는데, 최근 동(오른쪽) 윤장대에서 확인된 천계오년(天啓 ..
-
국보 제 321호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국 보 2021. 10. 9. 08:30
국보 제 321호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聞慶 大乘寺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 소재지 :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8, 대승사 지정일 : 2017년 08월 31일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은 후불탱화 형식을 조각으로 표현한 목각탱으로 총 10매의 판목을 조합하여 아미타극락세계를 장엄하게 표현하였다. 화면의 중앙에 자리 잡은 본존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주변에 보살 및 제자, 천왕상 등 24구의 존상을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정연하게 배치하였다. 각 존상 및 모티프에는 이름을 적어 목각아미타설법상 도상의 이해도를 높였다. 이 곳에 등장..
-
국보 제 10호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국 보 2021. 10. 2. 08:30
국보 제 10호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南原 實相寺 百丈庵 三層石塔) 소재지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975, 실상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실상사는 지리산 천왕봉 서편에 위치한 절로,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홍척(洪陟)이 창건하였다. 이 곳에서 북쪽으로 얼마쯤 가다보면 백장암이 나타나는데, 실상사에 딸린 소박한 암자로, 그 아래 경작지에 이 탑이 세워져 있다. 낮은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각 부의 구조와 조각에서 특이한 양식과 수법을 보이고 있다. 즉, 일반적인 탑은 위로 올라갈수록 너비와 높이가 줄어드는데 비해 이 탑은 너비가 거의 일정하며, 2층과 3층은 높이도 비슷하다. 층을 이루지 않고 두툼한 한 단으로 표현된 지붕돌의 받침도..
-
국보 제 233-1호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국 보 2021. 9. 25. 08:30
국보 제 233-1호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山淸 石南巖寺址 石造毘盧遮那佛坐像) 소재지 :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대포리 583, 내원사 지정일 : 2016년 01월 07일 이 비로자나불상은 불상의 중대석에서 발견된 납석사리호의 명문을 통해 766년(혜공왕 2)에 법승(法勝)과 법연(法緣) 두 승려가 받들어 돌아가신 두온애랑(豆溫哀郞)의 원을 위해 석조비로자나불상을 조성하여 무구정광대다라니와 함께 석남암수 관음암에 봉안하였다는 기록을 가진 중요한 불상이다. 이 불상은 우리나라 最古의 紀年銘의 智拳印 비로자나불상으로서 중요하며, 편년자료가 부족한 고대조각사 연구에도 절대적인 자료로 평가된다. 더불어 지권인을 한 如來形의 비로자나불 형식이 766년에 정립되었다는 사실은 새로운 불교 사상과 새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