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
희양산 봉암사조계종/그외 말사 2024. 6. 2. 08:30
희양산 봉암사 (曦陽山 鳳巖寺) 주 소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홈 피 : http://www.bongamsa.or.kr/대한불교조계종 제 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로 헌강왕 5년(879년) 당나라로부터 귀국한 지선(智詵:智證國師)이 창건한 신라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하나인 희양산파의 종찰(宗刹)이며 현재까지 선도량(禪道場)으로 일관해 온 선찰(禪刹)이다. 일주문(一柱門) - 보물봉황문(鳳凰文) 침류교(枕流橋) 枕流 - 흐르는 물을 베개 삼다.남훈루(南薰樓) 보림당(寶林堂)대웅보전(大雄寶殿) 성적당(惺寂堂) 극락전(極樂殿) - 보물 제1574호 산신각(山神閣) 동방장(東方丈) 고림원(古林院)청풍당(淸風堂) 삼층석탑(三層石塔) - 보물 제169호금색전..
-
연주대조계종/그외 말사 2024. 5. 26. 08:30
연주대(戀主臺) 연주대는 해발 629m 높이로 관악산의 깍아지른 듯한 바위 벼랑 위에 있는 대(臺)이다. 통일신라 문무왕 17년(677년)에 의상대사가 관악사를 창건하고 연주봉에 암자를 세웠기에 의상대(義湘臺)라 하였으나, 지금은 연주대로 불린다. 연주대로 불리게 된 데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조선 개국 후 고려의 유신들이 이곳에서 망국의 수도였던 개경을 바라보며 그리워했다는 이야기와 세종대왕의 형들인 양녕대군, 효령대군이 왕위 계승에서 밀려 나자 이곳으로 입산하여 경복궁을 바라보며 국운을 기원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곳 연주대 축대 위에는 현재 응진전(應眞殿)이라는 법당이 있다. 법당 내부에는 석가여래삼존불상(釋迦如來三尊佛像)이 모셔져 있고, 응진전 옆 암벽에는 인공의 감실을 마련한 마애약사여래..
-
망운산 화방사조계종/그외 말사 2024. 5. 19. 08:30
망운산 화방사 (望雲山 花芳寺) 주 소 :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대곡리 1448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雙磎寺)의 말사로 신라 신문왕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연죽사(煙竹寺)라 불렀으며 고려 중기 혜심(慧諶)이 중창한 뒤에는 영장사(靈藏寺)라 하였다. 임진왜란 때 승병들의 근거지로 쓰이다가 불에 타 없어진 것을 조선 인조 14년(1636년)에 계원(戒元)과 영철(靈哲)이 현위치로 옮기며 화방사라 하였다. 일주문(一柱門) 채진루(埰眞樓) 범종각(梵鐘閣)극락전(極樂殿) 대웅전(大雄殿) 응진전(應眞殿) 약사여래대불(藥師如來大佛) 삼성각(三聖閣) 명부전(冥府殿) / 조사전(祖師殿) (240402)
-
영취산 흥국사조계종/그외 말사 2024. 5. 16. 08:30
영취산 흥국사 (靈鷲山 興國寺) 주 소 :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17 홈 피 : http://www.여수흥국사.kr/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華嚴寺)의 말사로 고려 명종 25년(1195년)에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이 창건하여 조선 명종 15년(1560년)에 법수(法修) 대사가 중창하였으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동안 의승군의 주둔지와 승병 훈련소로서 호남 지방 의병·승병 항쟁의 중심 역할을 하면서 법당과 요사가 소실되었다. 인조 2년(1624년)에 계특대사(戒特大師)가 건물을 중창하였다. 일주문(一柱門)부도전(浮屠殿) 천왕문(天王門) 수장고(收藏庫)선불장(選佛場)봉황루(鳳凰樓)의승수군유물전시관(義僧水軍遺物展示館)사물루(四物樓) / 범종각(梵鐘閣) 법왕문(法王門) 적묵당(寂默堂)..
-
지리산 칠불사조계종/그외 말사 2024. 5. 9. 08:30
지리산 칠불사 (智異山 七佛寺) 주 소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1605 홈 피 : https://www.chilbul.or.kr/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雙磎寺)의 말사로 가락국의 시조인 김수로왕의 일곱 왕자가 동시에 성불(成佛)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 창건된 사찰이다. 신라 효공왕 때 한 번 불을 때면 온기가 100일은 간다는 아자방(亞字房)을 지음으로써 더욱 유명해졌다. 그 후 전란으로 소실된 것을 1978년 제월당(霽月堂) 통광(通光) 대선사가 중창하였다. 일주문(一柱門) 부도(浮屠) 보설루(普說樓) 원음각(圓音閣) 아자방(亞字房) 대웅전(大雄殿) 문수전(文殊殿) (240402)
-
오산 사성암조계종/그외 말사 2024. 5. 5. 08:30
오산 사성암 (鰲山 四聖庵) 주 소 : 전남 구례군 문척면 죽마리 189 홈 피 : http://www.saseongam.or.kr/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華嚴寺)의 말사로 백제 성왕 22년(544년) 화엄종의 시조인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창건하였다. 당시에는 오산암(鰲山庵)이라고, 참선하는 바위가 있어 선석암(禪石庵)이라고도 하였다. 사성암사적(四聖庵史蹟)에는 오산암에서 원효대사, 의상대사, 도선국사, 진각국사 등 4명의 고승이 수도하여 사성암(四聖庵)으로 고쳐 불렀다고 기록됐다. 또한 네 명의 선인들이라 일컫는 사선(四仙)이 수도하여 사선암(四仙岩)이라고 부른다고 기록됐다. 종무소(宗務所) 지장전(地藏殿) 53불전(五十三佛殿), 나한전(羅漢殿) 소원바위산왕전(山王殿..
-
동리산 태안사조계종/그외 말사 2024. 5. 2. 08:30
동리산 태안사 (桐裏山 泰安寺) 주 소 :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20 홈 피 : http://www.taeansa.org/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華嚴寺)의 말사로 신라 경덕왕 1년(742년)에 3명의 신승(神僧)이 창건하였고, 고려 태조 때 광자대사(廣慈大師) 윤다(允多)가 중창하여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하나인 동리산파(桐裏山派)의 중심사찰로 삼았다. 능파각(凌波閣) 3층석탑(三層石塔) 일주문(一柱門) - 보물 제 2234호 부도전(浮屠殿) 태안사 광자대사탑비(泰安寺 廣慈大師塔碑) 고려시대 승려 광자대사 윤다(允多)의 탑비로 보물 제 275호이다. 태안사 광자대사탑(泰安寺 廣慈大師塔) 광자대사의 사리를 모시고 있는 고려시대의 탑으로 보물 제 274호이다. 보제루(普濟樓) 범종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