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
희양산 봉암사조계종/그외 말사 2024. 6. 2. 08:30
희양산 봉암사 (曦陽山 鳳巖寺) 주 소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홈 피 : http://www.bongamsa.or.kr/대한불교조계종 제 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로 헌강왕 5년(879년) 당나라로부터 귀국한 지선(智詵:智證國師)이 창건한 신라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하나인 희양산파의 종찰(宗刹)이며 현재까지 선도량(禪道場)으로 일관해 온 선찰(禪刹)이다. 일주문(一柱門) - 보물봉황문(鳳凰文) 침류교(枕流橋) 枕流 - 흐르는 물을 베개 삼다.남훈루(南薰樓) 보림당(寶林堂)대웅보전(大雄寶殿) 성적당(惺寂堂) 극락전(極樂殿) - 보물 제1574호 산신각(山神閣) 동방장(東方丈) 고림원(古林院)청풍당(淸風堂) 삼층석탑(三層石塔) - 보물 제169호금색전..
-
국보 제 315호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국 보 2024. 6. 1. 08:30
국보 제 315호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 주 소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지정일 : 2010년 01월 04일 이 석비는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희양산문(曦陽山門)의 개창자인 도헌국사(道憲國師) 곧 지증대사(智證大師)의 탑비로서, 비석의 크기나 귀부와 이수의 조각수법 등이 통일신라 말기를 대표하는 전형적인 양식과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비문에는 신라의 불교사를 3시기로 나누어 약술하고 도신(道信)-법랑(法朗)-신행(愼行)-준범(遵範)-혜은(慧隱)-도헌(道憲)으로 이어지는 도헌국사의 법계(法系)를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있어서 신라하대의 불교사 특히 선종사(禪宗史) 연구의 중요한 1차 사료가 된다. 이 비는 당대의 대학자이며 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이 비..
-
호거산 운문사조계종/그외 말사 2023. 8. 22. 08:30
호거산 운문사 (虎踞山 雲門寺) 주 소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1789 홈 피 : http://www.unmunsa.or.kr/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로 신라 진흥왕 18년(557년)에 한 신승(神僧)이 현재의 북대암 옆 금수동에서 3년간 수도하여 깨달음을 얻은 후 다섯 곳에 절을 창건하였는데, 중앙에 대작갑사(현 운문사), 동쪽에 가슬갑사, 남쪽에 천문갑사, 서쪽에대비갑사(현 대비사), 북쪽에 소보갑사인 오갑사이다. 600년 신라 원광국사가 중창하였으며, 이때 귀산과 추항 두 화랑에게 세속오계를 전수하였다. 이후 후삼국의 혼란기에 폐허가 된 절을 930년에 보양국사가 크게 중창하였으며, 고려태조 왕건이 통일을 도운 보양국사에 대한 보은으로 937년 운문선사..
-
함월산 골굴사조계종/그외 말사 2023. 8. 13. 08:30
함월산 골굴사 (含月山 骨窟寺) 주 소 :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안동리 산304 홈 피 : http://www.golgulsa.com/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佛國寺)의 말사로 신라시대 불교 문화가 번창하던 6세기경 서역(인도)에서 온 광유성인 일행이 암반 전산에 마애여래불과 12처 석굴로 가람을 조성하여 법당과 요사로 사용해 온 국내 유일의 석굴 사원이다. 예로부터 인근 주민들의 기도처로 전해져 왔으나 근래에 이르기까지 교통이 불편한 관계로 퇴락 되어 가던 중, 기림사 주지를 역임한 설적운 스님의 법연에 의해 1990년부터 중창 불사를 하여 오늘의 가람을 이루었다. 본래 타 종단에 소속된 사설 암자였으나 적운스님이 주지로 부임하여 대한불교조계종으로 등록했다. 불교금강영관(佛敎金剛靈觀)..
-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조계종/그외 말사 2023. 8. 6. 08:30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 (八公山 冠峰 石造如來坐像) 주 소 :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 587-2 갓을 쓴 듯한 모습 때문에 '갓 바위 부처님'이라고도 불린다. 불상과 받침대는 하나의 바위로 만들어졌고 머리 위의 보개*는 별도로 만들어올린 것이다. 불상 뒤쪽으로는 바위가 병풍처럼 둘러져 있어 자연스럽게 광배** 역할을 하고 있다. 받침대를 포함한 불상의 전체 높이는 593.9㎝이고, 무릎 너비는 319.6㎝에 달한다.보물 제 431호이다.* 보개 : 탑이나 불상에서 보륜(寶輪) 위에 덮개 모양을 하고 있는 부분 ** 광배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하여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원광 삼성각(三聖閣) 범종루(梵鐘樓) 애자모 지장굴 대웅전(大雄殿) 유..
-
팔공산 선본사조계종/그외 말사 2023. 8. 1. 08:30
팔공산 선본사 (八公山 禪本寺) 주 소 :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 587 대한불교조계종 직영사찰로 『선본암중수기문』과 여러 자료를 통해 491년 소지왕 13년에 극달화상(極達和尙)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그 뒤 수청(秀廳)스님이 인조 19년(1641년)에 중창하였다. 그 이후로도 영조 41년(1765년)에 기성스님의 중창을 포함하여 여러 차례 중수를 통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일주문(一柱門) 선정루(禪定樓) 극락전(極樂殿) 산신각(山神閣) (230523)
-
팔공산 백흥암조계종/그외 말사 2023. 7. 30. 08:30
팔공산 백흥암 (八公山 百興庵) 주 소 :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549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銀海寺)의 말사로 신라 경문왕 13년(873년) 혜철(惠徹)국사의 발원으로 지어졌다. 지금은 작은 절이지만 처음 지어질 당시에는 별개의 사찰로 산 주변에 잣나무가 무성하여 이름을 백지사(柏旨寺)라 하였다. 조선 시대 중기인 중종 16년(1521년) 팔공산에 인종의 태(胎)를 보관하면서 백지사는 중요한 것을 지키는 곳이라는 의미를 지닌 ‘막중수호지소(莫重守護之所)’로 지정되어 국가의 지원과 보호를 받으며 크게 번성하였다. 명종 1년(1546년)에는 천교대사가 낡은 건물들을 새로이 고쳐 지으며 이름을 백흥암으로 바꾸었다. 산의 모습이 마치 용이 승천하는 기세와 같아 운부암(雲浮庵)에서 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