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 음/가톨릭 용어
-
숨겨진 보물인 성사(聖事) 1믿 음/가톨릭 용어 2017. 4. 15. 08:30
숨겨진 보물인 성사(聖事) 1 “하늘 나라는 밭에 숨겨진 보물과 같다”(마태 13,44) 지난 번 “징표”에 이어서 오늘은 “밭에 숨겨진 보물” 이야기로 시작하려 합니다. 하느님 은총의 가시적 표징인 성사(聖事 Sacramentum)의 뜻은 그 범위가 광범위하기에 인간의 단어로는 성사의 뜻을 온전히 담아낼 수 없습니다. 때론 인간의 언어로 한정짓기보다 비유로 표현하는 것이 더 나을 때가 많습니다. 그러기에 예수님께서도 자주 비유를 들어 설명하셨습니다. 오늘 저 역시 비유로 하느님 은총의 선물인 성사를 표현하고자 합니다. 마태오 복음에서 예수님은 하늘 나라를 밭에 숨겨진 보물로 비유합니다. 평소 사람들은 그 밭을 자주 지나다니지만, 그 밭에 숨겨진 보물을 알아보지 못합니다. 평소 사람들은 그 밭에서 자주 ..
-
구원의 보증인 성사(聖事)믿 음/가톨릭 용어 2017. 4. 10. 08:30
구원의 보증인 성사(聖事) 영화나 드라마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상황을 자주 접합니다. 어린 주인공은 예쁘고 똑똑하지만, 그의 삶은 콩쥐처럼 힘들고 어려운 상황의 연속입니다. 고된 자신의 삶을 받아들이며 성실하게 하루하루 살아가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더 힘들어집니다. 주인공이 극한 상황으로 치달을 때쯤, 잃어버린 자식을 찾아 헤매는 어느 기업의 회장님을 만납니다. 우리는 이 아이가 회장님의 딸이라는 것을 알지만, 회장님은 미처 발견하지 못합니다. 결국 아이를 찾지 못하고 다른 곳으로 떠나려 마지막으로 자신의 시중을 들던 아이와 인사를 하려고 돌아설 때, 회장님은 이 아이가 그토록 찾던 딸이라는 사실을 알아챕니다. 이렇게 두 사람은 서로를 알아보고 감격의 눈물을 흘립니다. 그렇다면 말입니다. 어떻게 회..
-
교회 안에서 하느님과 만남인 성사(聖事)믿 음/가톨릭 용어 2017. 4. 9. 08:30
교회 안에서 하느님과 만남인 성사(聖事) “성사 거행은 하느님의 자녀들이 그리스도와 성령 안에서 하느님 아버지와 만나는 것이며, 이 만남은 행위와 언어를 통하여 대화로 표현된다”(가톨릭 교회 교리서 1153) 성사(聖事)는 하느님의 은총을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적 표징입니다. 성사를 통하여 하느님과 그리스도인들은 더욱 친밀한 관계를 맺게 되고,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구원을 위한 은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즉, 성사는 우리가 눈에 보이지 않는 하느님을 알아 보고, 그분과 올바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하느님의 은총이자 사랑입니다. 모든 성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필요한 하느님의 은총을 전달하기에, 모든 성사는 “은총의 전달자”입니다. 그 은총은 그리스도인들이 “하느님의신비..
-
하느님의 의사소통 방법인 성사(聖事)믿 음/가톨릭 용어 2017. 3. 6. 08:30
하느님의 의사소통 방법인 성사(聖事) “사회적 존재인 인간이 다른 사람들과 의사 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언어나 몸짓, 동작을 통한 표징과 상징이 필요하다. 하느님과 이루는 관계도 마찬가지이다”(가톨릭 교회 교리서 1146). 모든 사람은 자신의 뜻을 다른 사람들에게 표현하거나 전달할 때 언어와 몸짓을 사용합니다.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을 때 대화를 통해 의사소통을 하거나, 글을 통해 생각을 표현하거나, 그림을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합니다. 하느님도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때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십니다. 언어와 몸짓 그리고상징이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하느님과 사람은 관계를 맺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사실 하느님에게는 이러한 도구가 필요하지 않지만, 사람들에게는 필요합니다. 만일 하느님이 사람에 ..
-
미사의 구조(성찬 전례 2, 마침 예식)믿 음/가톨릭 용어 2017. 2. 27. 08:30
미사의 구조(성찬 전례 2, 마침 예식) ○ 영성체 예식 영성체 예식은 신자들이 직접 성찬에 참여하는 예식으로, 하느님 아버지께 봉헌된 제물인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나누어 먹고 마십니다. 주님의 몸과 피를 받아 모심으로써 그분과 인격적으로 온전히 일치함을 의미합니다. •주님의 기도 : 매일의 양식을 청하는 주님의 기도입니다. 그 매일의 양식이 성체를 암시하고 있음을 알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또한 죄의 정화를 간청합니다. •평화 예식 :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수난과 부활로 완성하신 구원을 통해 흘러나오는 평화, 하느님과 인간 그리고 인간 상호간의 일치와 사랑에서 흘러 나오는 평화로서, 이 예식을 통하여 교회는 자신과 인류 가족의 평화와 일치를 구하고 신자들은 교회와 일치하면서 서로의 사랑을 표시합니다. •빵..
-
미사의 구조(성찬 전례 1)믿 음/가톨릭 용어 2017. 2. 20. 08:30
미사의 구조(성찬 전례 1) [성찬 전례]성찬 전례는 라틴어 원문 그대로 감사 전례 (Liturgia Eucarística)이며, 이 전례를 통해서 그리스도께서 완성하신 구원 사업을 기념하면서 성부께 감사와 찬미를 드리고 공동체 자신을 그리스도와 함께 성부께 봉헌합니다. ○ 예물 준비예수 그리스도는 최후 만찬에서 새로운 파스카를 세우고, 그것을 통하여 교회 안에 십자가 제사를 현존하게 하셨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대리하는 사제는 주님 친히 행하시고, 당신을 기념하여 반복하도록 제자들에게 맡긴 사명을 수행합니다. 예물 봉헌에서는 빵과 포도주가 물과 함께 제대로 운반됩니다. 이것은 그리스도가 당신 손에 드셨던 것과 같은 것입니다.* 제대와 예물 준비 : 가난한 사람들이나 교회를 위해 예물을 봉헌합니다.* 예..
-
미사의 구조(시작 예식, 말씀 전례)믿 음/가톨릭 용어 2017. 2. 13. 08:30
미사의 구조(시작 예식, 말씀 전례) [시작 예식] 미사를 시작하고 이끌고 준비하는 특성을 지닌 ‘시작예식’의 목적은, 한자리에 모인 신자들이 공동체의 일치를 이루고, 믿음으로 하느님 말씀을 듣고 성찬 전례를 합당하게 거행할 수 있도록 준비를 갖추게 하는 것입니다. * 입당 : 예식을 시작하고, 모인 신자들의 일치를 촉진시키며, 그들의 정신을 전례 시기 또는 축제의 신비로 인도하는 동시에 사제와 봉사자들의 행렬을 이끕니다. * 인사 : 주님의 현존을 선포하는 사제의 인사와 회중의 응답은 교회의 신비를 드러냅니다. * 참회 : 자신이 죄인임을 깨닫고 하느님과 모든 형제들에게 자신의 죄를 고백합니다. * 자비송 : 하느님의 자비를 구하는 노래이므로 미사에 참석한 모든 이가 함께하는 것이 좋습니다. * 대영광..
-
주님 공현 대축일믿 음/가톨릭 용어 2017. 1. 8. 00:00
주님 공현 대축일 (公顯 大祝日) 1. 의의 : 공현이란 ‘나타남 혹은 나타내어 보여줌’ 등의 의미를 갖는 말이다. 그래서 주님 공현 대축일은 아기 예수가 세 명의 동방 박사(파스칼, 멜키오르, 발타사르)에 의해, 자신이 메시아임이 드러나게 된 사건을 기념하는 날이다. 다시 말하면 메시아가 세상에 오셨으며 인간이 되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온 세상에 알리게 된 것을 기념한다. 2. 축일 : 이 축일은 3세기경 동방 교회에서 시작되었는데, 이때는 가나 혼인 잔치의 첫 기적과 요르단 강에서 세례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신성을 드러낸 사건도 함께 기념하였다. 그 후 4세기경에는 서방 교회에 전해져 동방 박사의 조배만을 기념하게 되었다. 그리고 축일은 1월 6일로 정했으나, 의무적 대축일로 지내지 않는 지역에서는 1..